목차
머리말 = ⅲ
1. 서론 = 1
2.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구조 유형론 = 5
2.1. 논항 구조의 통사와 의미 = 6
2.1.1. 논항 구조와 그 통사적 실현 = 6
2.1.2. 의미역 설정의 문제 = 14
2.1.3. 의미 구조에서 의미역의 기능 = 23
2.2. 한국어 술어의 격틀과 의미역 분류 = 24
2.2.1. 필수 논항과 수의 논항 = 24
2.2.2. 논항의 격틀과 의미역 = 29
2.2.3. 정리 = 47
2.3. 한국어 술어의 논항 교체 유형 = 48
2.3.1. 논항 교체와 술어의 의미 특성 = 48
2.3.2. 내부 논항 교체 = 54
2.3.2.1. [3항~2항] 교체 = 54
2.3.2.2. [3항~3항] 교체 = 55
2.3.2.3. [2항~2항] 교체 = 56
2.3.2.4. [2항~1항] 교체 = 56
2.3.3. 외부 논항 교체 = 57
2.3.3.1. [3항~2항] 교체 = 57
2.3.3.2. [2항~1항] 교체 = 57
2.3.4. 의미역 교체 = 60
2.3.4.1. [2항~2항] 교체 = 60
2.3.4.2. [1항~1항] 교체 = 61
2.3.5. 논항 목록 유지 = 61
[2항~2항] 교체 = 61
3.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 유형론 = 65
3.1. 사건 구조의 유형론 = 66
3.1.1. 사건 구조의 형식화: 단순 사건과 복합 사건 = 66
3.1.2. 생성 어휘부 이론의 사건 구조: Pustejovsky (1995) = 73
3.1.3. 술어의 다의성과 의미 표상 = 75
3.1.4. 사건 구조의 미명세에 의한 다의어 표상 = 82
3.1.5. 공동 합성에 의한 다의어 해석 = 84
3.2.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 89
3.2.1. 지속 부사어(durative adverbials)의 수식 제약 = 90
3.2.2. 시간틀 부사어(time frame adverbial)의 수식 제약 = 91
3.2.3. '-어 있다'의 결합 제약과 의미 해석 = 93
3.2.4. '-고 있다'의 결합 제약과 의미 해석 = 93
3.2.5. '계속(해서)'의 결합 제약과 의미 해석 = 94
3.2.6. 피동 동사 형성 여부: 완성 동사 = 95
4.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 97
4.1. 심리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 98
4.1.1. 심리 술어의 정의 = 98
4.1.2. 심리 술어의 논항 구조 = 101
4.1.3. 심리 술어의 격교체와 사건 구조 = 111
4.1.3.1. 경험주 논항의 격교체: 사동/기동 교체(Causative/Inchoative alternation) = 111
4.1.3.2. 자극 논항의 격교체: 원인/대상 교체(Cause/Theme alternation) = 117
4.1.3.3. 자극 논항의 격교체: 타동성 교체(Transitivity alternation) = 124
4.1.3.4. 대상 논항의 격교체 = 126
4.2. 산출 동사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 129
4.2.1. '굽다, 뚫다' 부류: 상태 변화~산출 교체 = 129
4.2.2. '쌓다, 차리다' 부류: 처소 변화~산출 교체 = 134
4.3. 처소 변화 동사의 사건 구조와 논항 실현 = 136
4.3.1. '칠하다' 부류: 처소 변화~상태 변화 교체 = 137
4.3.2. '덮다, 채우다' 부류: 처소 변화~상태 변화 교체 = 139
4.3.3. '비우다' 부류: 제거~상태 변화 교체 = 146
4.3.4. '지우다, 치우다' 부류: 제거~상태 변화 교체 = 151
5. 맺음말 = 157
참고문헌 = 159
Abstract = 167
찾아보기 = 169
발간사 =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