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1
1.1. 문제 제기: 연구사적 고찰 = 11
1.2. 어휘부 - 유추 모형의 태동 = 18
1.3. 용어와 개념 = 22
1.4. 이 책의 구성 = 30
제2장 어휘부 - 유추 모형 형태론의 탐색 = 31
2.1. 어휘부론 = 32
2.1.1. 어휘부의 구조 = 34
2.1.2. 어휘 정보의 표시 = 45
2.1.3. 인지심리학적 뒷받침 = 53
2.2. 단어형성론 = 60
2.2.1. 단어 형성 과정 = 60
2.2.2. 단어 형성 체계 = 66
2.2.2.1. 형성과 등재가 통합된 단어 형성 = 69
2.2.2.2. 형성과 등재가 분리된 단어 형성 = 72
2.2.3. 인지심리학적 뒷받침 = 76
제3장 국어의 단어 형성 = 83
3.1. 통시적 단어 형성 = 87
3.1.1. 통사구성의 단어화 = 88
3.1.1.1. 'N₁-N₂'형 = 93
3.1.1.2. 'V-(으)ㄴ-N'형 = 94
3.1.1.3. 'V-(으)ㄹ-N'형 = 106
3.1.1.4. 'V-ending-N'형 = 110
3.1.1.5. 'N-음'형 = 110
3.1.1.6. 'N-V-음'형 = 119
3.1.1.7. 'V-기'형 = 124
3.1.1.8. 'N-V-기'형 = 130
3.1.2. 합성 = 136
3.1.2.1. 'N₁-ㅅ-N₂'형 = 138
3.1.2.2. 'V-N'형 = 140
3.1.2.3. 'V-음/기-N'형 = 142
3.1.2.4. 'N₁-N₂'형 = 143
3.1.2.5. 'V-(으)ㄴ/ㄹ-N'형 = 144
3.1.2.6. 'N-V-음'형 = 149
3.1.2.7. 'N-V-기'형 = 150
3.1.2.8. 통사구성형 = 152
3.1.3. 파생 = 155
3.1.3.1. 'V-이'형 = 156
3.1.3.2. 'N-V-이'형 = 162
3.1.3.3. '(N)-V-개'형 = 174
3.1.3.4. 통사구성형 = 182
3.1 4. 의사 파생 = 183
3.1.4.1. 'N₁-N₂'형 = 186
3.1.4.2. 'V-(으)ㄴ-N'형 = 189
3.1.4.3. 'V-음'형 = 194
3.1.4.4. 'N-V-음'형 = 196
3.1.4.5. 'V-기'형 = 197
3.1.4.6. 'N-V-기'형 = 200
3.1.4.7. 'N-V-이'형 = 203
3.1.4.8. 'N-V-개'형 = 210
3.1.5. 통사론적 원리의 원용 = 211
3.1.5.1. 통사구성형 고유명사의 통사원자성 = 212
3.1.5.2. 고유명ㆍ고유명사ㆍ통사구성형 고유명사 = 218
3.1.5.3. 통사구성형 고유명사의 형성 = 223
3.2. 공시적 단어 형성 = 226
3.2.1. 임시어의 식별 기준과 식별 방법 = 226
3.2.2. 임시어 형성 접사의 식별 = 237
3.2.2.1. 임시어 형성 접미사의 식별 = 238
3.2.2.2. 임시어 형성 접두사의 식별 = 267
3.2.2.3. 임시어 형성 접사 목록 = 270
3.2.3. 임시어의 유형 = 271
3.2.4. 임시어 형성 규칙 = 273
3.2.4.1. 접미 파생 규칙 = 274
3.2.4.2. 접두 파생 규칙 = 276
제4장 결론 = 279
4.1. 요약 = 279
4.2. 종합적 논의 = 280
4.3. 남은 문제 = 282
참고문헌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