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서론 = 11
1.1. 연구 목적 = 11
1.2.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15
1.3. 기본 개념 = 18
1.4. 논문의 구성 = 21
2. 어휘부의 등재단위와 조직 = 23
2.1. 문제 제기 = 23
2.2. 어휘부의 성격 = 25
2.2.1. 이론 어휘부와 심리 어휘부 = 25
2.2.2. 어휘부의 성격 = 27
2.3. 어휘부의 등재단위 = 29
2.3.1. 단어의 등재 = 29
2.3.2. 실험적 증거의 해석 = 46
2.3.3. 구의 등재 = 49
2.4. 어휘부의 조직 = 51
2.4.1. 단어의 내적 조직 = 52
2.4.2. 단어들 사이의 조직 = 56
2.4.3. 계열체의 유형 빈도와 생산성 = 65
2.4.4. 어휘부의 조직이 단어 형성 기제에 대해 갖는 함축 = 68
3. 어휘부와 단어 형성 기제 = 70
3.1. 문제 제기 = 70
3.2. 단어 형성 규칙의 검토 = 73
3.2.1. 기호적 표상으로서의 단어 형성 규칙 = 73
3.2.2. 통사 규칙과 단어 형성 규칙 = 77
3.3. 규칙과 유추 = 87
3.3.1. '일회용 규칙'의 정체 = 88
3.3.2. 감각 형용사와 단어 형성 규칙 = 92
3.3.3. 유추의 개념 = 104
3.4. 유추와 어휘부 = 109
3.4.1. 유추에 의한 단어 형성의 분류 = 109
3.4.2. 유추의 과정 = 116
3.4.3. 유추의 틀과 단어 형성 규칙 = 120
4. 합성명사의 해석과 형성 = 126
4.1. 문제 제기 = 126
4.2. 통사적 합성명사와 형태적 합성명사 = 129
4.2.1. 통사적 구성과 형태적 구성의 구별 = 129
4.2.2. 일반 명사와 핵-논항 관계 = 136
4.2.3. 서술성 명사와 핵-논항 관계 = 141
4.3. 합성명사의 해석과 형성 = 144
4.3.1. 해석 기제로서 합성명사 형성 규칙의 문제점 = 145
4.3.2. 유추에 의한 합성명사의 해석과 형성 = 149
4.3.3. 합성명사의 어휘적 해석과 화용론적 해석 사이의 관계 = 156
4.4. '[[V-음]-N]'형 합성명사의 형성 = 161
5. [N-V-이] 복합명사의 분석과 형성 = 170
5.1. 문제 제기 = 170
5.2. [N-V-이] 복합명사의 분석 = 173
5.2.1. [N-V-이] 복합명사 IC 분석의 의미 = 173
5.2.2. 통합관계에 기초한 분석 검토 = 179
5.2.3. 계열관계에 기초한 분석 검토 = 186
5.3. [N-V-이] 복합명사의 형성 = 188
5.3.1. [V-이]의 재분석 = 188
5.3.2. [N-V-이] 복합명사의 유추적 형성 = 203
5.4. [N-V-이] 복합명사의 내부구조 = 211
5.4.1. [N [V-이]] 복합명사의 논항의 전수 = 211
5.4.2. 동사와 접미사 '-이' 사이의 함수자-논항관계 = 219
6. 결론 = 226
6.1. 요약 = 226
6.2. 남은 문제 및 전망 = 231
참고 논저 = 235
ABSTRACT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