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3
1.2. 연구 대상과 방법 = 18
1.3. 연구사 = 20
1.3.1. 한국어 시제 범주 및 체계에 대한 연구 = 20
1.3.2. 한국어 시제 어미에 대한 연구 = 24
1.3.2.1. '-었-' = 24
1.3.2.2. '-었었-' = 28
1.3.2.3. '-느-' = 30
1.4. 논의의 구성 = 34
제2장 시제에 관한 기본적 논의 = 36
2.1. 시제의 개념 = 36
2.1.1. 상황시의 의미 = 37
2.1.1.1. 상황의 전체 시구간 對 상황이 위치한 시간 = 39
2.1.1.2. 상황시에 대한 약정 = 42
2.1.2. 참조시와 주제시에 대한 검토 = 43
2.1.2.1. 참조시의 의미와 한계 = 44
2.1.2.2. 주제시의 의미와 한계 = 53
2.1.3. 시제의 정의 = 65
2.2. 시제 형식의 의미 차원과 사용 차원의 구별 = 67
2.2.1. 의미와 함축 = 70
2.2.2. 세제 선택의 요인 = 72
2.2.2.1. 의미에 의한 선택과 사용 = 73
2.2.2.2. 함축에 의한 선택과 사용 = 79
2.3. 기준시에 따른 시제의 종류 = 86
2.3.1.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 86
2.3.2. 화시적 시제와 조응적 시제 = 90
2.4. 시제와 시간부사류의 관계 = 91
2.4.1. 시간부사류의 의미론적 역할 = 93
2.4.2. 시제 의미의 검증 도구로서의 요건 = 100
2.5. 시제와 인접 범주 = 110
2.5.1. 시제와 양태 = 110
2.5.1.1. '-더-'와 양태 = 110
2.5.1.2. '-겠-'과 양태 = 114
2.5.2. 시제와 상 = 118
제3장 근문(根文)의 시제 = 125
3.1. '-었-' = 125
3.1.1. 과거시제의 '-었-' = 126
3.1.1.1. 전형적인 과거 의미의 '-었-' = 127
3.1.1.2. 상황의 과거성이 잘 부각되지 않는 '-었-' = 131
3.1.2. 상적 의미가 부각되는 '-었-' = 147
3.1.3. 그 밖의 '-었-' = 147
3.1.4. '-었-'의 함축과 사용 = 149
3.2. '-었었-' = 155
3.2.1. 대과거시제의 '-었었-' = 155
3.2.1.1. '-었었-'의 형성 = 155
3.2.1.2. '-었었-'의 범주 = 161
3.2.1.3. '-었었-'의 고유 기능 = 166
3.2.3. '-었었-'의 부차적 의미 = 169
3.2.4. '-었었-'의 함축과 사용 = 171
3.2.4.1. '-었었-'의 함축 = 171
3.2.4.2. '-었었-'의 사용 = 175
3.3. '-느-' = 180
3.3.1. '-느-'의 확인과 대립 = 180
3.3.1.1. '-느-'의 확인 = 180
3.3.1.2. '-느-'의 대립 = 184
3.2.2. 비과거시제의 '-느-' = 192
3.3.3. 시제 표지 아닌 '-느-' = 195
3.3.4. '-느-'의 함축과 사용 = 197
제4장 접속문의 시제 = 207
4.1. 접속문의 시제의 성격 = 209
4.1.1. 시제 결합이 가능한 접속문과 불가능한 접속문 = 209
4.1.2. 접속문에서의 상대시제의 의미와 범위 = 216
4.2. 시제 어미의 결합이 가능한 접속문 = 228
4.2.1. 시제의 독립성이 허용되는 접속문 = 230
4.2.2. 시제의 생략이 허용되는 접속문 = 236
4.2.3. 시제의 생략이 어려운 접속문 = 241
4.2.4. 상대적 과거 '-었-'을 허용하는 접속문 = 244
4.2.5. 비전형적인 과거의 '-었-'이 요구되는 접속문 = 246
4.2.6. 과거로 보기 어려운 '-었-'이 요구되는 접속문 = 250
4.3. 시제 어미의 결합이 불가능한 접속문 = 257
제5장 내포문의 시제 = 263
5.1. 관형사절의 시제 = 263
5.1.1. 관형사형 어미 '-을', '-은' = 263
5.1.1.1. 비현실의 관형사형 어미 '-을' = 266
5.1.1.2. 현실의 관형사형 어미'-은' = 269
5.1.1.3. '현실/비현실' 대립이 없는 관형사형 어미 = 276
5.1.2. '-는', '-던', '-었던' 절의 시제 = 277
5.1.2.1. '-는' 절의 시제 = 278
5.1.2.2. '-던' 절의 시제 = 288
5.1.2.3. '-었던' 절의 시제 = 303
5.1.3. '-었을' 절의 시제 = 309
5.2. 명사절의 시제 = 315
5.2.1. '-기' 명사절의 시제 = 316
5.2.2. '-음' 명사절의 시제 = 329
5.3. 간접 인용절의 시제 = 331
5.3.1. 간접 인용절의 시제의 특징 = 331
5.3.2. 간접 인용절의 시제의 사용 = 337
제6장 결론 = 346
6.1. 요약 = 346
6.2. 남은 문제 = 355
참고문헌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