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3
도표 차례 = 10
제1장 序論 = 11
1.1. 연구의 목적과 범위 = 11
1.2. 연구 자료 개관 = 12
1.3. 연구사 검토 = 15
1.4. 연구 방법론 = 17
제2장 15세기 漢語音韻體系의 再構 = 19
2.1. 방법론적 고찰 = 19
2.1.1. 기초 자료의 선별 = 19
2.1.2. 음운체계 수립의 원칙 = 24
2.1.3. 문어음과 구어음의 구별 = 30
2.2. 재구의 실제 = 35
2.2.1. 성모체계 = 35
2.2.1.1. (中原)과 (圖經)의 비교 = 35
2.2.1.2. 15세기 한어의 성모체계 = 39
2.2.2. 운모체계 = 43
2.2.2.1. (中原)과 (圖經)의 비교 = 43
2.2.2.2. 15세기 한어의 운모체계 = 50
2.2.3. 성조체계 = 58
2.2.3.1. (中原)과 (圖經)의 비교 = 58
2.2.3.2. 15세기 한어의 성조체계 = 59
2.3 寫音字의 음가 추정 = 61
제3장 朝鮮館譯語 語釋 = 73
3.1. 底本 = 73
3.2. 凡例 = 74
3.3. 語釋 = 76
〔天文門〕(001~055) = 76
〔地理門〕(056~119) = 90
〔時令門〕(120~159) = 104
〔花木門〕(160~195) = 113
〔鳥獸門〕(196~238) = 121
〔宮室門〕(239~265) = 130
〔器用門〕(266~303) = 136
〔人物門〕(304~340) = 143
〔人事門〕(341~403) = 150
〔身體門〕(404~438) = 163
〔衣服門〕(439~464) = 169
〔聲色門〕(465~477) = 174
〔珍寶門〕(478~495) = 176
〔飮饌門〕(496~513) = 179
〔文史門〕(514~527) = 182
〔數目門〕(528~549) = 185
〔干支門〕(550~561) = 188
〔卦名門〕(562~573) = 191
〔通用門〕(574~596) = 192
제4장 初·終聲의 對應關係 = 197
4.1. 初聲 = 197
4.1.1. 牙音 = 197
4.1.1.1. /ㄱ/ = 197
4.1.1.2. /ㅋ/ = 203
4.1.2. 舌音 = 203
4.1.2.1. /ㄷ/ = 203
4.1.2.2. /ㅌ/ = 208
4.1.2.3. /ㄴ/ = 211
4.1.2.4. /ㄹ/ = 214
4.1.3. 脣音 = 217
4.1.3.1. /ㅂ/ = 217
4.1.3.2. /ㅍ/ = 220
4.1.3.3. /ㅸ/ = 222
4.1.3.4. /ㅁ/ = 224
4.1.4. 齒音 = 227
4.1.4.1. /ㅈ/ = 227
4.1.4.2. /ㅊ/ = 233
4.1.4.3. /ㅅ/ = 237
4.1.4.4. /△/ = 244
4.1.5. 喉音 = 247
4.1.5.1. /ㅎ/ = 247
4.1.5.2. /ㅇ/ = 250
4.1.6. 기타 = 250
4.2. 終聲 = 252
4.2.1. 牙音 = 252
4.2.1.1. /ㄱ/ = 252
4.2.1.2. /ㅇ/ = 254
4.2.2. 舌音 = 259
4.2.2.1. /ㄷ/, /ㅌ/ = 259
4.2.2.2. /ㄴ/ = 260
4.2.2.3. /ㄹ/, /ㄺ/, /ㄼ/ = 264
4.2.3. 脣音 = 270
4.2.3.1. /ㅂ/, /ㅍ/ = 270
4.2.3.2. /ㅁ/ = 272
4.2.4. 齒音 = 275
4.2.4.1. /ㅅ/, /ㅈ/, /ㅊ/ = 275
4.2.4.2. /△/ = 279
4.3. 15세기 국어의 자음체계 = 280
제5장 中聲의 對應關係 = 283
5.1. 단모음 = 283
5.1.1. /ㅏ/ = 283
5.1.2. /ㅓ/ = 289
5.1.3. /ㅗ/ = 292
5.1.4. /ㅜ/ = 300
5.1.5. /ㅡ/ = 303
5.1.6. /ㆍ/ = 309
5.1.7. /ㅣ/ = 314
5.2. 상향 이중모음 = 321
5.2.1. /w/계 = 321
5.2.1.1. /ㅘ/ = 321
5.2.1.2. /ㅝ/ = 323
5.2.2. /j/계 = 324
5.2.2.1. /ㅑ/ = 324
5.2.2.2. /ㅕ/ = 326
5.2.2.3. /ㅛ/ = 332
5.2.2.4. /ㅠ/ = 335
5.3. 하향 이중모음 = 337
5.3.1. /ㅐ/ = 337
5.3.2. /ㅔ/ = 338
5.3.3. /ㅚ/ = 341
5.3.4. /ㅟ/ = 343
5.3.5. /ㅢ/ = 344
5.3.6. /ㆎㅣ/ = 345
5.3.7. /ㅖ/ = 348
5.4. 15세기 국어의 모음체계 = 350
제6장 聲調의 對應關係 = 353
6.1. 단음절 형태 = 353
6.1.1. 평성(L) = 353
6.1.2. 거성(H) = 359
6.1.3. 상성(R) = 363
6.2. 다음절 형태 = 368
6.2.1. 평평(LL) = 368
6.2.2. 평거(LH) = 374
6.2.3. 평상(LR) = 379
6.2.4. 상거(RH) = 382
6.2.5. 거거(HH) = 385
6.2.6. 거상(HR) = 387
6.2.7. 상상(RR) = 389
6.2.8. 거평(HL) = 390
6.2.9. 상평(RL) = 393
6.3. 15세기 국어의 성조체계 = 396
제7장 結論 = 399
參考文獻 = 405
索引: 朝鮮館譯語 寫音字 索引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