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1
제2장 형태음운론의 서술 방법 = 19
2.1. 활용형의 체계적 고찰 = 19
2.1.1. 이형태의 상호 관계 = 19
2.1.2. 도출 패러다임 = 31
2.2. 생성문법과 형태음운론적 변화 = 36
2.2.1. 음변화 = 37
2.2.1.1. 개신 = 37
2.2.1.2. 재구조화 = 45
2.2.2. 불완전 학습 = 48
제3장 변화의 요인 = 53
3.1. 음변화 = 53
3.1.1. 요소의 변화와 체계의 재구성 = 53
3.1.2. 변화의 실제 = 58
3.1.2.1. 기저형의 변화 = 58
3.1.2.2. 규칙 부문의 변화 = 66
3.1.2.2.1. 규칙 첨가 = 66
3.1.2.2.2. 규칙 단순화 = 74
3.1.2.2.3. 규칙 소실 = 81
3.2. 어휘부 최적화 = 87
3.2.1. 유추 = 87
3.2.1.1. 형식적 동일화 = 87
3.2.1.2. 변화의 실제 = 96
3.2.1.2.1. 평준화 = 96
3.2.1.2.2. 감염 = 114
3.2.2. 기저형 선택 조건의 단순화 = 120
3.2.3. 용언 어간 구조 조건 = 131
3.3. 재분석 = 143
3.3.1. 새로운 어간 인식 = 143
3.3.2. 변화의 실제 = 161
3.3.2.1. 규칙의 비적용 = 161
3.3.2.2. 여타 규칙의 적용 = 168
3.3.2.3. 동일 규칙의 적용 = 180
제4장 변화의 유형 = 183
4.1. 교체의 생성 = 187
4.1.1. 음운론적 교체의 생성 = 187
4.1.2. 어휘론적 교체의 생성 = 194
4.2. 교체 형식과 성격의 변화 = 196
4.2.1. 형식의 변화 = 196
4.2.2. 성격의 변화 = 198
4.2.3. 복합적 변화 = 204
4.3. 교체의 소멸 = 207
4.3.1. 음운론적 교체의 소멸 = 207
4.3.2. 어휘론적 교체의 소멸 = 209
제5장 결론 = 211
참고문헌 = 219
용어 찾아보기 = 231
어간 찾아보기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