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대상과 방법 = 7
1.2. 기존 연구의 문제점 = 13
제2장 자료
2.1. 수집 대상 = 23
2.1.1. 선정 기준 = 27
2.1.2. 수집 현황 = 31
2.2. 자료의 轉寫 = 35
2.2.1. 전사의 목표와 대상 = 35
2.2.2. 분절음 전사 = 36
2.2.3. 운율 요소 전사와 상황 전사 = 39
2.2.4. 전사 보기 = 43
제3장 지시 용언의 형태와 기능
3.1. 도입 = 47
3.2. 지시 용언의 형태적 특징 = 52
3.3. 지시 용언의 분류 = 58
3.3.1. 지시적 용법과 비지시적 용법 = 59
3.3.1.1. 非言語的 指示 = 73
3.3.1.2. 言語的 指示 = 88
제4장 내포문 구성에서의 지시 용언
4.1. 도입 = 113
4.2. 관형화 내포문 = 115
4.2.1. 불구 내포문 = 115
4.2.2. 완형 내포문 = 121
4.2.2.1. 완형 내포문의 통합관계 = 121
4.2.2.2. 보문자 형태의 종류 = 124
4.3. 동사구 내포문 = 139
4.3.1. 불구 내포문 = 140
4.3.2. 완형 내포문 = 149
4.3.2.1. 'S(고) 그렇게 VP' = 151
4.3.2.2. 'S(고) 그러-' = 155
4.3.3. 구어 인용절의 특징 = 171
4.4. 전체적인 특징과 하위 텍스트 유형별 검토 = 179
제5장 지시용언을 포함한 접속 부사류의 담화 분석적 연구
5.1. 도입 = 183
5.2. 담화 분석의 단위 ; 발화와 발화 단위 = 184
5.3. 담화 분석과 담화 표지 = 195
5.3.1. '그런데(근데)' = 202
5.3.2. '그래서' = 214
5.3.3. '그(러)니까' = 217
제6장 결론
6.1. 요약 = 229
6.2. 남은 문제 = 235
참고문헌 =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