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ㆍ 머리말

1장 머리말
1.1. 연구 목적과 방법
1.2. 문제 제기
1.3. 연구 대상 및 구성

2장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피동 관련 표지의 의미적 특징
2.1. 우언적 동사 구문(periphrastic verb sentence)
2.1.1. 전형적 피동(typical passive)
2.1.2. 동작주 탈초점(agent-defocus)
2.2. 능격 동사 구문(ergative verb sentence)
2.2.1. 반사동(anticausative)
2.2.2. 가능 피동(potential passive)
2.3. 재귀사 구문(reflexive verb sentence)
2.3.1. 재귀(reflexive)
2.3.2. 내적 재귀(endoreflexive)
2.3.3. 상호(reciprocal)
2.3.4. 반사동(anticausative)
2.3.5. 가능 피동(potential passive)
2.3.6. 전형적 피동(typical passive)
2.3.7. 반피동(antipassive)
2.4. 피동 표지 관련 구문들의 유형론적 의의
2.4.1. 피동 관련 구문들의 의미 범주와 태
2.4.2. 피동 관련 구문들의 의미 확장과 분포

3장 한국어 피동 구문의 의미와 관련된 구성 요소
3.1. 동작주와 피동작주의 유무
3.2. 동작주와 피동작주의 유정성과 초점
3.3. 동작주와 피동작주의 표지

4장 한국어 피동사 구문의 의미적 특징
4.1. 전형적 피동과 비전형적 피동의 특성
4.2. 전형적인 피동(typical passive, passive by agent)
4.3. 비전형적 피동(untypical passive)
4.3.1. 속성 피동(property passive)
4.3.2. 저절로 피동(passive by itself)
4.3.3. 스스로 피동(passive by patient)
4.3.4. 동작주 초점 피동(agent-focus passive)
4.4. 한국어 피동사 구문의 유형론적 의의
4.4.1. 피동사의 의미 범주와 태
4.4.2. 의미의 확장 방향과 분포

5장 맺음말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