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拙政園의 연꽃 하나

1. 서론

2. 『世說新語』의 對話文 用字
2.1. 『세설신어』와 劉義慶
2.2. 『세설신어』의 대화문
2.3. 대화문 용자

3. 대화문 용자의 音韻對立
3.1. 대화문 용자의 음가 표시
3.2. 최소대립 쌍
3.3. 분포 분석표

4. 聲母
4.1. 脣音
4.1.1. 明母?微母
4.1.2. 幇母?非母, 滂母?敷母, ?母?奉母
4.2. 舌音
4.2.2. 端母?知母, 透母?徹母, 定母?澄母
4.3. 齒音 마찰음
4.3.1. 心母?邪母, 生母, 書母?常母
4.3.2. 치음 마찰음의 음운대립
4.3.3. 書母?常母와 羊母
4.4. 齒音 파찰음
4.4.1. 치조음인 精母, 淸母, 從母
4.4.2. 권설음인 莊母, 初母, 崇母
4.4.3. 구개음인 章母, 昌母, 船母
4.4.4. 전청인 精母, 莊母, 章母
4.4.5. 차청인 淸母, 初母, 昌母
4.4.6. 전탁인 從母, 崇母, 船母
4.4.7. 치음 파찰음의 음운대립
4.4.8. 치음 유성 마찰음과 유성 파찰음의 음운대립
4.5. 牙喉音
4.5.1. 아음인 見母, 溪母, 群母, 疑母
4.5.2. 아음과 후음의 구별 여부
4.5.3. 후음인 影母, 曉母, 匣母, 云母
4.6. 子音體系
4.6.1. 성모의 계량적 점유 비율
4.6.2. 성모의 음운론적 분석
4.6.3. 5세기 전반기 한어의 자음체계
4.6.4. 대화문 용자 집합과 자음체계

5. 韻母
5.1. /-ø/ 운미인 섭
5.1.1. 果攝과 假攝
5.1.2. 遇攝
5.1.3. 止攝
5.1.4. /-ø/ 운미 종합
5.2. /-u/ 운미인 섭
5.2.1. 效攝
5.2.2. 流攝
5.2.3. /-u/ 운미 종합
5.3. /-i/ 운미인 섭
5.3.1. 거성운모인 蟹攝
5.3.2. 순수 蟹攝
5.3.3. /-i/ 운미 종합
5.4. /-ŋ, -k/ 운미인 섭
5.4.1. 通攝과 江攝
5.4.2. 宕攝과 曾攝
5.4.3. 梗攝
5.4.4. /-ŋ, -k/ 운미 종합
5.5. /-n, -t/ 운미인 섭
5.5.1. 山攝
5.5.2. 臻攝
5.5.3. /-n, -t/ 운미 종합
5.6. /-m, -p/ 운미인 섭
5.6.1. 咸攝과 深攝
5.6.2. /-m, -p/ 운미 종합
5.7. 母音體系
5.7.1. 韻母 종합
5.7.2. 음절구조제약
5.7.3. 운복 모음의 분포
5.7.4. 모음체계와 활음체계
5.7.5. 대립 성립의 요건 검증

6.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부록] 대화문 용자와 그 음가 표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