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문법과 통사론
1.1. 문장과 통사론
1.2. 문법의 하위 부문
1.3. 통사론과 다른 문법 부문의 관계

2. 통사론의 연구 대상과 단위
2.1. 통사론의 연구 대상
2.2. 통사론의 단위

3. 어절의 통사적 정보
3.1. 어절의 결합 방식
3.2. 어간의 통사적 정보
3.3. 토의 통사적 정보

4. 단순한 문장의 구조
4.1. 어절과 구, 문장의 관계
4.2. 문장 성분
4.3. 성분과 성분 구조

5. 문장의 종류 (1) 용언토의 종류에 따른
5.1. 용언토의 종류에 따른 문장의 종류
5.2. 서술문

5.3. 의문문
5.4. 명령문과 청유문

6. 문장의 종류 (2) 용언 어간의 종류에 따른
6.1. 동사문과 형용사문, 지정사문
6.2. 사동문과 피동문
6.3. 부정문

7. 문장의 내포와 접속
7.1. 복문에 대한 고찰에서 고려할 점들
7.2. 복문의 범위와 종류
7.3. 복문과 의존 용언, 의존 명사

8. 내포문
8.1. 내포절의 명칭과 표지
8.2. 명사절
8.3. 관형사절
8.4. 용언절
8.5. 인용절의 문제

9. 부사절 내포문과 접속문
9.1. 부사절의 분포
9.2. 접속문의 앞 절인가, 부사절인가?
9.3. 대등적 접속인가, 종속적 접속인가?
9.4. 부사절 내포문
9.5. 접속문의 분류의 문제

10. 피동문
10.1. 피동문과 피동사
10.2. 피동사의 종류에 따른 피동문
10.3. 피동문의 의미

11. 사동문
11.1. 사동문과 사동사
11.2. 사동문의 종류
11.3. 사동문의 의미
11.4. 사동문과 피동문의 관계

12. 인용문
12.1. 인용과 인용문
12.2.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
12.3. 발화동사
12.4. 인용절의 범주와 표지
12.5. 인용문의 특징과 구조
12.6. 발화동사가 쓰인 문장의 형식
12.7. ‘-이라고’와 ‘-고’의 실제적 쓰임

13. 부정문
13.1. 부정, 부정 표현과 부정문
13.2. 부정문의 종류
13.3. 부정문의 구조
13.4. 부정문의 의미 해석

14. 통사론과 다른 부문
14.1. 통사론과 형태론의 관계
14.2. 통사론과 의미론, 화용론의 관계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