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4
제1장 서론 = 19
1.1 개념 정의 = 19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1
1.3 선행 연구 및 연구 과제 = 27
1.4 연구 자료와 연구방법 = 32
1.5 본 책의 구성 = 39
1.6 연구 결과의 활용 = 41
제2장 준구어 어절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 = 45
2.1 들어가기 = 45
2.2 음절수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 47
2.3 형태수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 52
2.4 결합 양상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 57
2.5 나오기 = 93
제3장 준구어에서 실질형태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 = 99
3.1 들어가기 = 99
3.2 품사별 통계학적 분석 = 100
3.3 나오기 = 178
제4장 준구어에서 형식형태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 = 183
4.1 들어가기 = 183
4.2 조사(J) = 185
4.3 어미(E) = 234
4.4 파생접사(X) = 266
4.5 나오기 = 293
제5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 = 301
5.1 들어가기 = 301
5.2 제시대화문 어절의 음절수 구성 = 302
5.3 제시대화문 어절의 형태수 구성 = 304
5.4 제시대화문 어절의 형태 결합 양상 = 306
5.5 제시대화문 어절의 실질형태 범주별 구성 = 308
5.6 제시대화문 어절의 형식형태 범주별 구성 = 311
5.7 나오기 = 316
제6장 결론 = 323
참고문헌 = 333
부록 1 준구어 형태소 목록 = 339
부록 2 준구어와 순구어의 형태 비교 목록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