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5
1부 한국어 조사의 해체와 문장 구조
한국어 조사{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 = 15
1. 서론 = 15
2. 문제 제기 = 16
지위 규정과 용어의 계보학적 문제 = 16
조사{의}의 형태ㆍ통사적 분포 = 18
조사{의}에 대한 가설 = 21
조사{의}의 분포와 역사성 = 25
통사적 구성과 합성명사 = 27
3. 조사{의}의 의미 기능: 한정조사로서의{의} = 32
한정성 표지로서의{의} = 32
조사{의}의 제약: 동격 구성을 중심으로 = 33
조사{의}와 명사화 = 36
4. 결론 = 39
한국어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정체성 - 기능동사 옹호론 = 46
1. 들어가기 = 46
2. '이다', 본용언인가 기능용언인가? = 48
동사와 형용사 그리고 기능동사와 기능형용사 = 48
접사인가 동사인가 허사인가? 실사인가? = 53
3. '이다'와 관련된 음운 현상 = 55
왜 구개음화 현상이 문제인가? = 55
'이다'의 생략 현상과 그 본질 = 57
4. 'X-는 Y-이다' 구성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해석 = 61
왜 '이다'의 선행 명사구에는 격표지가 나타나지 않는가라는 문제의 본질 = 61
'이다' 구성의 의미해석 = 64
특수조사의 비대칭성에 대한 문제 = 66
5. 마무리 = 68
'이다'를 기능동사로 분석해야 하는 이유 몇 가지 = 75
1. 서론 = 75
2. '아니다'에 대한 분석: '안+이다'인가 '아니+이다'인가? = 76
3. '이다' 구성과 부사 수식 = 80
4. 결론 = 86
2부 한국어 어미와 인칭의 문제
한국어 동사ㆍ어미 범주와 주어 인칭의 상관관계 = 97
1. 서론 = 97
2. 자동번역에서 드러나는 문제 = 98
3. 인칭 문제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 = 102
한국어 문법에서 인칭제약 현상에 대한 언급 = 102
영형 대명사 해결과 센터링 이론 = 104
인칭구조를 문법의 핵심적인 문제로 다루는 논의 = 105
4. 작업 개요와 분석 자료의 특성 = 107
5. 결과의 해석 = 108
주관동사 '싫-'의 경우 = 110
기술동사 '많-'의 경우 = 114
행위동사 '읽-'의 경우 = 118
언어자료의 실제와 언어이론 = 121
일반 인칭론 구성의 필요성: 굴절인칭, 동사인칭, 대명사인칭 = 123
6. 맺음말 = 125
부록. 작업과정과 자료의 예 = 131
한국어 종결어미의 반복 순서 제약과 인칭의 문제 = 137
1. 머리말 = 137
2. 한국어 어미와 인칭의 문제 = 140
종결어미의 분류 = 140
한국어의 인칭 문제 = 142
논의 대상 및 목적 = 143
관찰 자료 = 144
3. 분석 방법 및 결과 = 145
4. 맺음말에 앞서 = 146
5. 맺음말: 일반 인칭론 구성의 필요성 = 152
3부 한국어 문법범주의 재해석과 유형론
언어유형론의 비판적 고찰 - 한국어는 교착어, 불어는 굴절어라는 것의 의미를 묻다 = 161
1. 서론 = 161
문제제기 = 161
논의 목적 = 164
2. 언어사실과 그 분석 = 166
한국어와 불어 문법의 해체 = 166
유형론(typologie)에서 위상학(topologie)으로 = 180
3. 결론과 휘갑치기 = 181
참고자료 = 187
보조동사 '-(어)주다'의 통사적 특성과 기능 - 여격 표지로서의 분석 가능성 = 189
1. 서론 =189
2. 통사적 논의 = 191
3. 언어자료 분석 = 200
'주다/드리다/달다'의 빈도 = 201
'-(어)드리다'의 경우 = 202
'-(어)주시다'의 경우 = 206
결과의 요약과 일반화 = 210
여격 표지로서의 분석 가능성 = 212
4. 결론 = 213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기능(potential)의 의미 해석 - 대조적 관점에서 = 218
1. 서론 = 218
2. 한국어 타동사문의 경계 = 219
한국어 타동사 설정 기준의 문제 = 219
기술동사와 주관동사의 '가형 성분'의 통사적 기능 = 221
동사구 설정의 범위 = 222
3.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그 의미 해석 = 224
피동문과 주관동사 구문의 평행성 = 224
피동동사 = 226
피동 구성{-(어)지다}구성 = 228
피동구문에서{-시}는 어떤 주어와 일치하는가? = 230
피동동사의 의미 = 231
4. 결론 = 233
4부 한국어 형태론과 통사론 사이
형태론과 통사론 사이에 - 통사론적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 243
1. 서언 = 243
2. 'x-하다' 구성의 정체: 형태론적 구성 대 통사론적 구성 = 245
3. 통사적 단위의 설정과 그 근거 = 247
4. 결어 = 256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의 새로운 해석 = 262
1. 들어가기 = 262
2. 이중주어 구문의 논의 유형 = 263
이중주어 구문의 유형 분류 = 263
이중주어 구문의 진짜 주어 = 263
서술절 설정을 둘러싼 논의 = 264
3. 이중주어 구문의 신해석: 단일 주어 가설을 중심으로 = 267
논의의 전제 = 267
동사의 종류와 이중주어 구문 = 269
동사, 동사구, 복합술어, 단어결합, 연어, 숙어 = 274
서술절 설정과 단일 주어 가설 = 282
4. 마무리 = 285
구어 한국어 접속문의 문장 패턴 연구 - 접속어미의 통사적 제약 현상을 중심으로 = 292
1. 서론 = 292
2. 이론적 배경 = 294
구어 문형 연구와 어미의 통사적 제약 = 294
복합문의 통사 구조 = 296
전치사구와 접속절의 통사 = 297
접속문의 통사 제약 현상의 체계화 = 301
3. 접속어미의 포섭 관계 분석 = 304
분석 대상 = 304
분석 방법 1: 접속어미의 포섭 관계의 표상 방법 = 304
분석 방법 2: 접속어미의 포섭 관계의 체계화 절차 = 305
분석 결과 = 307
4. 접속문의 문장 패턴과 계층 구조 = 309
접속어미의 위계 관계와 통사 구조의 평행성 = 309
상위 어미가 후행하는 패턴 = 310
하위 어미가 후행하는 패턴 = 312
5. 결론 = 315
5부 한국어 어휘 구조
한국어 명사성 형용사의 설정 문제 - 유형론적 접근과 국어교육적 활용 = 323
1. 들어가기 = 323
국어학과 언어유형론에서의 '형용사'란 용어의 문제 = 323
논의 목적 = 325
2. 한국어 형용사의 동사적 속성: 동사와 형용사 사이 = 327
3. 한국어 형용사의 명사적 속성: 명사와 형용사 사이 = 334
4. 준계사로서의 '하다' = 340
5. 마무리 = 344
일본어 형용사의 형용동사의 유형론적 함의 - 한국어 형용사, 어근 등의 분류와 관련하여 = 352
1. 들어가기 = 352
2. 형용사 범주 = 353
3. 형용동사 또는 十형용사 = 358
4. 맺음말 = 364
에필로그 = 373
용어 해설 = 377
찾아보기(색인)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