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4
1.2 연구 방법 = 18
1.3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 21
1.4 연구 의의 = 27
제2장 해방 이후 일본의 한국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31
2.1 일본의 신문 및 잡지기사 통계로 본 한국문화의 수용 현황 = 32
2.1.1 신문기사 = 34
2.1.2 대중잡지 및 학술지 = 41
2.2 일본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48
2.2.1 한 일 대중문화개방 이전 = 48
2.2.2 한 일 대중문화개방 이후 = 55
2.3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대중문화와의 관계 = 59
제3장 한ㆍ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63
3.1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 = 64
3.2 중국의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반응 = 68
3.2.1 중국 현지 언론 보도를 통한 분석 = 69
3.2.2 중국에 있어 「한류」의 의미 = 73
3.3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교육 = 75
3.4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반응 및 한국어 교육에 미친 영향 = 78
제4장 일본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81
4.1 한국어 학습자의 실태조사 및 분석에 대한 개요 = 82
4.1.1 설문조사의 기본개요 = 82
4.1.2 설문조사의 대상 및 조사일 = 83
4.2 설문분석 = 88
4.2.1 기본조사 = 88
4.2.2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관심도 = 91
4.2.3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도 = 106
4.2.4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인지도 = 117
4.2.5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 관계 = 132
4.2.6 한국어 학습 난이도 = 135
4.2.7 한국어 학습 만족도 = 148
4.3 설문결과로 본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학습 관련 양상 = 155
제5장 중국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163
5.1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 164
5.1.1 설문조사 = 164
5.1.2 면담조사 = 165
5.2 자료처리와 분석 및 문제점 = 166
5.3 결과와 분석 = 167
5.3.1 기본조사-성별 연령별 직업별 분포 = 167
5.3.2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관심도 = 169
5.3.3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도 = 178
5.3.4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 = 183
5.3.5 한국어 학습 난이도 = 206
5.3.6 한국어 학습 만족도 = 212
5.3.7 중국인 학습자 심층 면담조사 = 219
5.4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학습 관련 양상 = 224
제6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일본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 227
6.1 국내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 일본의 한국어 교육 = 228
6.1.1 학습 환경 및 학습 조건의 상위 = 229
6.1.2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국어교재 = 234
6.2 일본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 238
6.2.1 한국대중문화률 이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238
6.2.2 언어의 4기능과 문화를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한국어교재 = 242
6.3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48
6.3.1 쓰기 교육 = 249
6.3.2 월기 교육 = 252
6.3.3 듣기 교육 = 254
6.3.4 말하기 교육 = 257
6.3.5 문화 교육 = 259
제7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중국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 263
7.1 한국어교재와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 = 264
7.1.1 한국어교재 분석 = 264
7.1.2 한국어교재와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 274
7.2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77
7.2.1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의 일 방안 = 279
7.2.2 한국어교재 구성 모형 = 289
제8장 결론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