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11
1.1. 연구 목적과 범위 = 11
1.2. 연구 방법 = 19
1.3. 선행 연구 = 21
1.3.1. 한국어 선행 연구 = 22
1.3.1.1. 한국어 "-겠-"
1.3.1.2. 한국어 "-더-"
1.3.1.3. 한국어 "-지"
1.3.1.4. 한국어 "-구나"
1.3.2. 일본어 선행 연구 = 29
1.3.2.1. 일본어 "-う"
1.3.2.2. 일본어 "-っけ"
1.3.2.3. 일본어 "-よ", "-ね"
1.3.2.4. 일본어 "-な"
1.3.3. 한ㆍ일 대조 선행 연구 = 34
2.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대조 = 37
2.1.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통사 분석 = 41
2.1.1.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주어 제약 = 41
2.1.1.1. 한국어 "-겠-"의 주어 제약
2.1.1.2. 일본어 "-う"의 주어 제약
2.1.1.3.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주어 제약 대조
2.1.2.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시간 제약 = 62
2.1.2.1. 한국어 "-겠-"의 시간 제약
2.1.2.2. 일본어 "-う"의 시간 제약
2.1.2.3.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시간 제약 대조
2.2.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의미 분석 = 74
2.2.1. 한국어 "-겠-"의 의미 = 75
2.2.2. 일본어 "-う"의 의미 = 84
2.2.3.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의미 대조 = 92
2.2.3.1.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가 일치하는 의미
2.2.3.2.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가 일치하지 않는 의미
2.3.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맥락적 해석 = 99
2.3.1. 한국어 "-겠-"의 맥락적 해석 = 99
2.3.1.1. 추정
2.3.1.2. 의지
2.3.1.3. 미래
2.3.1.4. 가능성
2.3.1.5. 예정
2.3.1.6. 완곡
2.3.2. 일본어 "-う"의 맥락적 해석 = 105
2.3.2.1. 추정
2.3.2.2. 의지
2.3.2.3. 미래
2.3.2.4. 청유
2.3.2.5. 제의
2.3.2.6. 확인
2.3.3.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의 맥락적 해석 대조 = 113
2.3.3.1.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가 일치하는 맥락적 해석
2.3.3.2. 한국어 "-겠-"과 일본어 "-う"가 일치하지 않는 맥락적 해석
2.4. 요약 = 127
3.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대조 = 129
3.1.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통사 분석 = 131
3.1.1.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주어 제약 = 131
3.1.1.1. 한국어 "-더-"의 주어 제약
3.1.1.2. 일본어 "-っけ"의 주어 제약
3.1.1.3.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주어 제약 대조
3.1.2. 한국어 "-더-"의 시간 제약과 일본어 "-っけ" = 149
3.1.2.1. 한국어 "-더-"의 시간 제약
3.1.2.2. 한국어 "-더-"의 시간 제약과 "-っけ"의 대조
3.2.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의미 분석 = 156
3.2.1. 한국어 "-더-"의 의미 = 157
3.2.2. 일본어 "-っけ"의 의미 = 170
3.2.3.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의미 대조 = 182
3.2.3.1.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가 일치하는 의미
3.2.3.2.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가 일치하지 않는 의미
3.3.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맥락적 해석 = 190
3.3.1. 한국어 "-더-"의 맥락적 해석 = 190
3.3.1.1. 경험
3.3.1.2. 회상
3.3.1.3. 의식 단절
3.3.1.4. 감탄
3.3.1.5. 보고
3.3.2. 일본어 "-っけ"의 맥락적 해석 = 195
3.3.2.1. 경험
3.3.2.2. 회상
3.3.2.3. 의식 단절
3.3.2.4. 확인
3.3.3.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의 맥락적 해석 대조 = 198
3.3.3.1.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가 일치하는 맥락적 해석
3.3.3.2. 한국어 "-더-"와 일본어 "-っけ"가 일치하지 않는 맥락적 해석
3.4. 요약 = 208
4.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대조 = 211
4.1.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통사 분석 = 212
4.1.1.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주어 제약 = 212
4.1.1.1. 한국어 "-지"의 주어 제약
4.1.1.2. 일본어 "-よ", "-ね"의 주어 제약
4.1.1.3.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주어 제약 대조
4.2.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의미 분석 = 253
4.2.1. 한국어 "-지"의 의미 = 253
4.2.1.1. 화자만의 이미 앎
4.2.1.2. 화자와 청자의 이미 앎
4.2.2. 일본어 "-よ", "-ね"의 의미 = 263
4.2.2.1. 일본어 "-よ"의 의미
4.2.2.2. 일본어 "-ね"의 의미
4.2.3.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의미 대조 = 275
4.2.3.1.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가 일치하는 의미
4.2.3.2. 한국어 "-지"와 일본어 "-ね"가 일치하는 의미
4.2.3.3.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가 일치하지 않는 의미
4.3.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맥락적 해석 = 287
4.3.1. 한국어 "-지"의 맥락적 해석 = 287
4.3.1.1. 의견 제시
4.3.1.2. 동의
4.3.1.3. 확인
4.3.1.4. 명령
4.3.1.5. 청유
4.3.1.6. 친밀감
4.3.2. 일본어 "-よ", "-ね"의 맥락적 해석 = 293
4.3.2.1. 일본어 "-よ"의 맥락적 해석
4.3.2.2. 일본어 "-ね"의 맥락적 해석
4.3.3.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의 맥락적 해석 대조 = 307
4.3.3.1.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가 일치하는 맥락적 해석
4.3.3.2. 한국어 "-지"와 일본어 "-ね"가 일치하는 맥락적 해석
4.3.3.3. 한국어 "-지"와 일본어 "-よ", "-ね"가 일치하지 않는 맥락적 해석
4.4. 요약 = 307
5.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대조 = 319
5.1.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통사 분석 = 321
5.1.1.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주어 제약 = 321
5.1.1.1. 한국어 "-구나"의 주어 제약
5.1.1.2. 일본어 "-な"의 주어 제약
5.1.1.3.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주어 제약 대조
5.2.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의미 분석 = 341
5.2.1. 한국어 "-구나"의 의미 = 341
5.2.2. 일본어 "-な"의 의미 = 346
5.2.3.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의미 대조 = 350
5.3.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맥락적 해석 = 355
5.3.1. 한국어 "-구나"의 맥락적 해석 = 355
5.3.1.1. 감탄
5.3.1.2. 한탄
5.3.1.3. 깨달음
5.3.1.4. 확인
5.3.2. 일본어 "-な"의 맥락적 해석 = 359
5.3.2.1. 감탄
5.3.2.2. 한탄
5.3.2.3. 깨달음
5.3.2.4. 확인
5.3.2.5. 주장
5.3.3.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의 맥락적 해석 대조 = 364
5.3.3.1.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가 일치하는 맥락적 해석
5.3.3.2. 한국어 "-구나"와 일본어 "-な"가 일치하지 않는 맥락적 해석
5.4. 요약 = 371
6. 결론 = 373
대상 자료 = 385
참고 문헌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