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식민지 조선문학 담론과 근대시의 형식
제1장 1930년대 조선문학 담론과 시쓰기 = 11
1. 조선어, 조선문학, 조선시의 위치 = 11
2. 조선어 시의 몇 가지 방향 = 20
제2장 조선문학 담론의 배경과 쟁점 = 29
1. 조선문학의 위상과 창작 환경의 변동 = 29
1) 조선문학 위기론과 전환기의 조선문단 = 29
2) 출판ㆍ교육 환경의 변화와 일본어 창작
2. 조선문학의 규정과 국민문학의 건설 = 49
1) 조선문학의 개념 문제 = 49
2) 조선문학의 독자성과 조선어 = 62
제3장 조선문학의 구상과 시의 혁신 = 83
1. 조선문학의 특수성과 문학의 전통 = 83
1) 고전부흥론과 전통의 발굴 = 83
2) 조선적 고유성과 정지용(鄭芝溶)의 창작 방향 = 96
2. 조선문학의 역사성과 민족문학 = 109
1) 복고주의에 대한 반발과 조선문학사 서술 = 109
2) 민족문학론과 임화(林和)의 창작 방향 = 121
3. 조선문학의 보편성과 세계문학 = 136
1) 세계문학의 일원으로서의 조선문학 = 136
2) 조선어의 근대와 이상(李箱)의 창작 방향 = 153
제4장 조선어의 탐구, 근대 시형의 창조 = 171
1. 모국어의 실현과 리듬의 창출 - 정지용 = 171
1) 근대적 경험과 혼종적 조선어 = 171
2) 모국어 관념과 음악성의 결합 = 180
3) 조선적 서정과 시형의 개발 = 190
2. 민족어의 구상과 화법의 창조 - 임화 = 200
1) ''시민계급''의 어휘와 형상성 = 200
2) 민족의 경험과 상상적 공동성 = 211
3) 역사적 내러티브와 장시의 형식 = 222
3. 보편 언어의 추구와 구성의 탐구 - 이상 = 232
1) 시적 관습의 부정과 과학의 언어 = 232
2) 조선어의 기능과 조직에 대한 사고 = 241
3) 식민지 개인의 현실과 문체 실험 = 250
제5장 근대문학의 탐색과 한국시의 지형 = 259
제2부 근대시의 형성과 조선어의 경계들
제1장 근대 형성기 시의 형식과 변화 과정 = 273
1. 근대시 형성기를 둘러싼 문제점들 = 273
2. 새로운 시의 근대적 성격에 관한 규정 = 278
3. 개인으로서의 시인과 개별적 화자의 음성 = 281
4. 화자-대상-독자 구도의 변화와 이동 = 287
5. 화법의 변화와 근대 시형의 탐색 = 291
6. 근대적 자아의 재현과 근대시 = 296
제2장 ''조선''의 언어로 한용운에게 찾아온 ''생각'' = 300
1. 한국근대시사에서『기탄자리』번역이 갖는 의의 = 300
2.『님의 침묵』의 발생화 김억 번역본『기탄자리』의 관계 = 305
3.『기탄자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님의 침묵』의 의미 = 308
1) 현실에 ''초월/저항''하는 역설의 언어 = 309
2) ''기다림''의 발견과 ''당신''의 조선적 현현 = 313
3) ''주-저''의 보편적 구도와 ''님-나''라는 조선적 구도 = 317
4. 부정과 단절로서의『님의 침묵』 = 321
제3장 이상(李箱)의 시쓰기와 ''조선어''라는 사상 = 327
1. 대리적 개념으로서 (재)배치되는 조선어 문장 = 327
2. 근대 ''민족어''와 ''한자/한문''에 대한 사고 = 332
3. 이상 시에서의 한자 사용과 조선어 문장의 이동 = 336
4. 움직이는 조선어 - 근대 조선어의 경계들 = 344
참고문헌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