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 서론 = 11
2. 순탄치 못한 출발 : 『우리말본』의 부사절 = 13
2.1 어미의 분류체계 = 13
2.2 어미 분류와 문장의 종류 = 16
2.3 不貝의 부사형어미 = 19
2.4 뿌리 없는 부사절 : 장막 속의 ''-게'' = 24
2.5 문장 합성의 二分 體系 : 병렬과 종속 = 33
2.6 연합문의 분립 = 37
2.7 연합문의 영향 = 48
2.8 『우리말본』의 부사절 = 51
3. 모색 속의 부사절 = 54
3.1 부사절의 失踪 = 54
3.2 망설임과 진통 = 56
3.3 체계의 파탄 = 64
3.4 부사절의 微動 = 63
3.5 특이한 체계 = 67
3.6 忍苦의 세월 = 73
4. 혼돈 속의 부사절 = 79
4.1 새 수난을 맞는 부사절 = 79
4.2 종속접속과 내포의 개념 = 83
4.3 접속과 접속사 = 88
4.4 부사절의 세분 = 93
4.5 제자리를 빼앗긴 문장부사절 = 97
5. 부사절의 開花 = 106
5.1 새 체계의 부사절 = 106
5.2 새 체계의 踏步 = 111
5.3 옛 체계의 잔재 = 113
5.4 명사절의 실종 : 일그러진 문장 분류표 = 119
6. 보편성과 특수성 = 124
6.1 언어의 보편성 = 124
6.2 낡은, 그러나 보편적인 체계 = 131
6.3 어미의 분류 = 136
6.4 量的 불균형 : 병렬문의 독립성 = 145
6.5 제3의 합성 방식 = 152
6.6 부사형어미의 목록 : ''-이''의 경우 = 164
7. 결론 = 167
참고문헌 = 177
색인 =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