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창간사 = 5
머리말 = 6
고전시가의 언어와 표현 / 최재남
1. 서언 = 15
2. 시적 구성과 언어와 표현 = 17
(1) 시조의 구성과 표현의 양상 = 17
(2) 가사의 언어적 진술 = 22
(3) 판소리의 문학적 진술 = 29
3. 소결 = 36
시적 구성의 관습성과 형상화의 보편성 / 최재남
1. 서론 = 39
2. 죽하당 시조의 내용 = 40
3. 시가 형성의 몇 원리 = 51
(1) 시가일도(詩歌一道)의 원리 = 52
(2) 포괄화의 원리 = 55
(3) 공감의 원리 = 57
4. 결론 = 60
〈관서별곡〉과〈관동별곡〉의 언어와 표현 / 진영희
1. 서론 = 63
2. 서사 구조의 언어와 표현 = 67
(1)〈관서별곡〉과〈관동별곡〉의 서사 구조 = 67
(2)〈관서별곡〉과〈관동별곡〉의 어휘 쓰임 = 72
3. 결론 = 77
〈누항사〉의 언어와 표현 연구 / 양동주
1. 서론 = 81
2. 각 행별 언어 및 표현 분석 = 83
(1) 어리고 迃闊할산 - 내 分인 줄 알리로다 = 84
(2) 莘野耕叟와 瓏上耕翁 - 후리쳐 더뎌 두쟈 = 89
(3) 江湖 한 꿈을 - 삼긴대로 살렷노라 = 94
3. ''허위허위-설피설피'' 표현의 성격과 의의 = 98
(1) ''허위허위-설피설피''의 談話 標識的 기능성 = 98
(2) ''거동보소''로부터 살핀 ''허위허위-설피설피''의 의의 = 101
4. 결론 = 105
설득적 담화로서의〈만언사〉의 언어와 표현 / 윤예전
1. 들어가며 = 109
2.〈만언사〉의 유통과 수용, 그리고 설득의 기반에 대하여 = 111
3.〈만언사〉의 설득적 표현 전략 = 115
(1) 관계 지향적 표현을 통한 향유 공동체의 형성 = 115
1) 부름과 의문을 통한 문제 의식 공유 = 116
2) 보편적 세계인식과 대응 양상을 통한 공감 추구 = 119
3) 전고의 활용을 통한 정서 체험 유도 = 124
(2) 개성적 표현을 통한 특수한 향유 기제 형성 = 129
1) 인물의 형상화 방식과 역할의 부여 양상 = 129
2) ''만언(萬言)''의 제목과 향유자의 수용 = 136
4. 나가며 = 138
잡가〈선유가〉의 언어와 표현 / 안세연
1. 들어가며 = 143
2. 경기12잡가와〈선유가〉의 형성 = 146
3.〈선유가〉의 사랑, 이별의 구현과 노랫말의 구성 = 152
(1)〈선유가〉의 단위구분과 다양한 노랫말의 구성 = 152
(2) ''물''과 ''사랑ㆍ이별''의 정한(情恨) = 158
4. 나가며 = 163
『조선민요선』속 서정성의 언어 및 표현 / 이민규
1. 서론 = 167
2.「서설」에서의 민요관 = 168
3. 애욕적 감정을 담은 서정성의 언어 및 표현 = 176
4. 이야기성을 포괄한 서정성의 언어 및 표현 = 184
5. 나가며 = 192
〈게우사〉와〈남원고사〉에 드러난 언어와 표현 / 박소영
1. 들어가며 = 195
2.〈게우사〉와〈남원고사〉주제 의식 및 등장인물 = 198
3.〈게우사〉와〈남원고사〉속 언어와 표현 = 202
(1)〈게우사〉와〈남원고사〉속 언어 변용과 그 의미 = 206
(2)〈게우사〉와〈남원고사〉표현 양상 비교 = 210
4. 나가며 = 215
19세기 서사 양식에서 역사인물평의 언어와 표현 / 박혜인
1. 서론 = 219
2. 인물평의 구성 및 언어 표현 분석 = 220
(1)〈오호대장긔〉 = 221
1) 대조적 성격의 언어 사용 = 223
2) 태도의 차이를 반영한 표현 = 226
(2)〈셔초패왕긔〉 = 229
1) 권위적 성격의 언어 사용 = 230
2) 비판적 태도를 반영한 표현 = 232
3.『삼설기』의 서사적 특징과 인물평과의 관계 = 235
4. 결론 = 239
사랑 주제의 판소리와 잡극의 언어와 표현 / 이수정
1. 서언 = 243
2. 판소리와 잡극의 구연형태 = 247
3.『춘향가』와『서상기』의 언어와 표현 = 252
(1)『춘향가』의 언어와 표현양상 = 252
(2)『서상기』의 언어와 표현양상 = 259
(3) 언어와 표현상의 유사성 = 265
4. 소결 = 267
조선조 소동파〈전적벽부〉의 수용 / 고진영
1. 서언 = 269
2. 소동파〈전적벽부〉의 언어 표현 = 272
(1) 시어의 언어층위 = 275
(2) 문장의 표현층위 = 278
3. 조선조〈전적벽부〉의 언어 표현 수용 = 279
(1) 서거정의〈蘇仙赤壁圖〉 = 280
(2) 윤선도의〈次韻酬李季夏赤壁歌〉 = 282
(3) 조찬한의〈赤壁賦〉 = 286
4. 소결 = 290
찾아보기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