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문법 연구에 대한 성찰 = 17
통사론 연구의 반성을 위한 제언 = 19
1. 목적
2. 어휘 항목의 온전성 문제
2.1 어순 공리와 어휘 파괴
2.2 사동의 의미론과 어휘 해체
2.3 피사동 문제와 어휘 파괴
2.4 부정법 논의와 어휘 파괴
3. 범주 설정의 문제
3.1 생성 문법과 범주 설정
3.2 결정사구(DP) 가설의 문제
3.3 일치소와 굴절의 문제
3.4 서술절 범주와 주제 문제
4. 결론
부정법 = 97
1. 머리말
2. 부정문 성립의 조건
3.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의 차이
4. 순수-의도 부정과 불능-불급 부정
5. 장형 부정의 '-지'
6. 장형 부정의 '이/가'와 '을/를'
7. 부정의 작용역에 관한 문제
8. 부정 극어의 인허 조건
9. 결론
초창기 국어 부정법 논의의 양상 = 175
1. 목적
2. 초창기 외국인에 의한 부정법 논의
3. 초창기 내국인에 의한 부정법 논의
4. 맺음말
생성 문법의 도입과 전개 - 표준 이론과 초기의 확대 표준 이론을 중심으로 - = 213
1. 서론
2. 생성 이론의 도입
3. 생성 이론의 적용기
4. 반성적 성찰의 시기
5. 맺음말
'조선 문화어 문법 규범'을 통해 본 북한의 문법 = 265
1. 서론
2. "어음론"
2.1 북한 "어음론"의 성격
2.2 "말소리"
3. 형태론
3.1 개관
3.2 단어와 그 구조
3.3 품사
3.4 토
4. 문장론
4.1 개괄
4.2 문장과 단어 결합
5. 맺음말
1992년 북한의 국어학 연구 동향 = 317
1. 머리말
2. 문법에 대한 논의
3. 음성, 음운에 대한 논의
4. 사전 편찬 및 어휘, 문체
5. 국어사 및 방언에 대한 논의
6. 정보 및 전산 처리
7. 기타
8. 맺음말
북한의 규범 문법 = 337
1. '규범 문법'의 성격
2. 북한의 규범 문법서 편찬
3. 북한 규범 문법의 특징
3.1 어음론
3.2 형태론
3.3 문장론
4. 맺음말
제2부 어문 규범에 대한 성찰 = 349
이른 시기에 행해진 "한글 마춤법 통일안" 개정의 실체 = 351
1. 목적
2. 학문적 견고성과 원안 불비에 대한 양보
3. 원안 내용에 실제로 가해진 수정
4. "마춤법"에서 '맞춤법'으로
5. 결론
학교 문법, 표준 문법, 규범 문법의 개념과 정의 = 373
1. 머리말
2. '규범 문법'과 '학교 문법'에 대한 인식
3. 학교 문법의 성격과 기준
4. '규범 문법'의 성격과 연원
5. '표준 문법'의 의미
6. 결론
맞춤법 규정의 논리성과 명료성 = 397
1. 목적
2. 맞춤법 규정의 기본 요건
3. 맞춤법 총칙과 구성에 관한 문제
4. 맞춤법 규정의 세부 문제
4.1 "자모"에 관한 문제
4.2 "소리에 관한 것"의 문제
4.3 "형태에 관한 것"의 문제
4.4 "띄어쓰기"의 문제
4.5 "문장 부호"의 문제
5. 맺음말
외래어의 개념 및 그 표기법의 형성과 원리 = 447
1. 목적
2. 외래어의 개념과 외래어 표기법의 입각점
3.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4.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구성과 특징
5. 결론
외래어 표기의 역사 = 475
1. 목적
2. 동화와 문맥
3. 이른 시기의 가설적 외래어
5. 훈민정음 창제와 외래어 표기
6. 외래어 표기법의 제정과 변천
7. 맺음말
제3부 한국어와 여성어에 대한 성찰, 기타 = 523
국어: 한국적 사유 방식의 모태 = 525
1. 우리말에 대한 생각
2. 언어의 자의성과 체계의 추상성
3. 언어와 민족에 대한 두 가지 견해
4. 어휘에 의한 분절과 사고
5. 국어의 어휘적 특징
6. 국어의 계통과 유형적 특질
7. 국어 문장 구성과 핵의 위치
8. 경어법과 한국인의 사고
9. 주제와 관련한 국어 문장의 특징
10. 맺음말
국어의 여성어 = 547
1. 배경과 목적
2. 청자 대우 표현의 측면
3. 어휘 사용의 측면
4. 여성에 대한 표현
5. 맺음말
카자흐스탄 한인 동포와 모국어 = 559
1. 머리말
2. 조사의 진행과 응답자의 인적 사항
3. 언어 상황과 한인 동포들의 언어 능력
4. 한인 동포들의 언어 생활과 모국어
5. 한인 동포들의 한국어 접촉과 습득
6. 한인 동포들과 한국어의 위상
7. 맺음말
필사본 한글 간찰의 해독과 문장 분절 - 순천 김씨와 창원 황씨 간찰을 중심으로 = 573
1. 머리말
2. 한글 간찰에 대한 해독 문제
3. 문장 분절의 문제
4. 맺는말
계림유사 '刀斤'의 읽기에 대하여 = 607
1. 목적
2. '刀斤'의 표기
3. '刀斤'의 읽기 방식
3.1 표제자의 뜻읽기 방식
3.2 역어자 소리읽기 방식
3.3 역어자 바꿈 방식
4. '刀'에 대한 뜻읽기 방식의 접근
5. 結論
국어 억양의 기본 성격과 특징 = 629
1. 머리말
2. 억양의 중심 요소와 주변 요소
3. 억양의 형태와 구조
4. 억양과 강세 및 길이
5. 억양의 유형과 기능
6. 맺음말
'모밀꽃 필 무렵'의 현대적 수정과 해석 문제 = 673
1. 목적
2. 가능한 교정: 철자와 띄어쓰기
3. 원문 수정 및 변개와 그 타당성
4. 원문의 오류와 비정(批正)의 문제
5.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의 해석
6. 결론
찾아보기 =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