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 5

1.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5
1.2. 연구대상과 방법 … 17
1.2.1. 연구 대상 … 17
1.2.2. 연구 방법 … 19
1.3. 선행 연구 검토 … 21

2. 이론적 배경 … 29
2.1. WTPPF 모형 … 31
2.2. 절충식 교수법 … 35
2.2.1. 의미 중심 형태 초첨 교수법 … 35
2.2.2. 직접 교수법 … 36
2.2.3. 시청각 교수법 … 38
2.2.4. 역할 놀이법 … 40

3.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 분석 … 43
3.1. 오류 분석 기준 … 45
3.2. 작문 분석 … 47
3.2.1. 초급 작문 분석 … 47
3.2.2. 중급 작문 분석 … 53
3.2.3. 고급 작문 분석 … 63
3.2.4.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분석 결과 요약 … 72

4. 교육용 연결어미의 목록과 의미적?통사적 특성 … 81
4.1. 교육용 연결어미의 목록 … 83
4.1.1. 한국어 초등학교 국어 읽기 교과서 분석 … 84
4.1.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 90
4.1.3. 외국인을 위한 교육용 연결어미 선정 … 96
4.2. 연결어미의 의미적?통사적 특성 … 105
4.2.1. 연결어미 ‘-아도/-어도/-여도/-라도’의 의미적?통사적 특성 … 105
4.2.2. 연결어미 ‘-(으)ㄴ데/-는데’의 의미적?통사적 특성 … 121

5. 연결어미의 교육 방안 … 131
5.1. 연결어미의 교육 과정 … 133
5.1.1. 교육 목표 … 133
5.1.2. 교육 내용 … 133
5.1.3. 교육 방법 … 136
5.1.4. 교육 평가 … 138
5.2. 실험과 검증 … 138
5.2.1. 실험 … 138
5.2.2. 검증 … 160

6. 결론 … 169

참고문헌 … 177

부록 … 195
<부록 1-1> ‘-아도/-어도/-여도/-라도’의 사전 평가 문제 … 197
<부록 1-2> ‘-(으)ㄴ데/-는데’의 사전 평가 문제 … 200
<부록 2-1> ‘-아도/-어도/-여도/-라도’의 사후 평가 문제 … 202
<부록 2-2> ‘-(으)ㄴ데/-는데’의 사후 평가 문제 … 205
<부록 3> 실험 연구에 관한 설문 … 207

찾아보기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