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 서론 = 11
2. 현대 (원) 용천어와 화순어의 음소 대조 = 19
2.1. 음소체계 = 19
2.1.1. 모음 = 19
2.1.2. 자음 = 26
2.1.3. 반모음 = 34
2.2. 음소배열 = 37
2.2.1. 음절내부 = 37
2.2.2. 음절연결 = 40
3. 모음의 변화 = 43
3.1. 계열상의 변화 = 44
3.1.1. ''에''와 관련된 대립의 변화 = 44
3.1.2. ''오''와 관련된 대립의 변화 = 51
3.1.3. ''Vi'' 이중모음의 변화 = 55
3.1.3.1. 하강 이중모음의 변화 = 64
3.1.3.2. 부동 이중모음의 변화 = 77
3.1.4. ''아''의 변화 = 88
3.1.5. 두 지역어의 ''계열상의 변화'' 대조 = 96
3.2. 통합상의 변화 = 99
3.2.1. 원순모음화와 비원순모음화 = 99
3.2.2. 전설모음화 = 113
3.2.2.1. ''으〉이'' 전설모음화 = 113
3.2.2.2. 움라우트 = 120
3.2.3. y계 상승 이중모음의 변화 = 126
3.2.4. 고모음화 = 136
3.2.5. 모음연쇄의 변화 = 144
3.2.6. 두 지역어의 ''통합상의 변화'' 대조 = 150
4. 자음의 변화 = 155
4.1. 계열상의 변화 = 156
4.1.1. ''ㅅ, ㅈ''과 관련된 대립의 변화 = 156
4.1.2. ''ㄷ, ㄴ''과 관련된 대립의 변화 = 163
4.1.3. ''ㆅ'' 의 변화 = 168
4.1.4. 유성마찰음의 변화 = 171
4.1.5. 두 지역어의 ''계열상의 변화'' 대조 = 179
4.2. 통합상의 변화 = 181
4.2.1. 설면-경구개 이음과 관련된 변화 = 181
4.2.1.1. 설면음화 = 181
4.2.1.2. ''ㄴ''탈락 = 193
4.2.2. 모음간 자음의 변화 = 196
4.2.2.1. ''ㅎ''탈락 = 196
4.2.2.2. ''ㅇ''의 변화 = 199
4.2.3. 자음연쇄의 변화 = 204
4.2.4. 두 지역어의 ''통합상의 변화'' 대조 = 209
5. 결론 = 211
참고문헌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