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9
1.1. 연구의 목적과 범위 = 9
1.2. 선행 연구와 그 문제점 = 12
1.3. 연구 방법 = 16

제2장 사건구조와 부사 = 19
2.1. 들어가기 = 19
2.2. 한국어 부사의 하위 유형 = 20
2.3. 사건구조와 용언의 상적 분류 = 27
2.4. VP의 세분 구조 = 33
2.4.1. VP-껍질(VP-shell) 구조 = 33
2.4.2. AspP와 VP의 구절 구조 = 36
2.4.3. AspP1과 AspP2, 그리고 부사 = 39
2.5. 부사의 허가 = 43
2.5.1. 부가어로서의 부사 = 44
2.5.2. 지정어로서의 부사 = 45
2.5.3. 핵어로서의 부사 = 46
2.5.4. 부사의 허가 조건 = 47
2.6. 사건구조와 부사 수식 관계 = 50
2.7. 마무리 = 56

제3장 정도부사와 사건구조 = 59
3.1. 들어가기 = 59
3.2. 정도부사 '매우', '거의', '아주'의 분포 = 61
3.2.1. 형용사 수식 = 62
3.2.2. 명사 수식 = 66
3.2.3. 부사 수식 = 68
3.3. 사건구조 수식 = 69
3.3.1. Pustejovsky(1995)의 사건구조와 중점 미명세 체계 = 70
3.3.2. 비대격 동사 = 72
3.3.3. 피동 동사 = 76
3.3.4. 비대격 동사와 피동 동사의 사건구조 유형 = 79
3.3.5. 부사 '거의', '아주'의 분포와 의존동사 결합 = 83
3.4. 전칭 의미의 부사와 계단 함수(step function) 술어 = 84
3.4.1. 전칭적 의미의 동사 = 85
3.4.2. 계단 함수 술어의 사건구조적 특성 = 89
3.4.3. 동사의 상적 분류와 계단 함수 술어 = 93
3.5. 마무리 = 96

제4장 양태부사와 사건구조 = 99
4.1. 들어가기 = 99
4.2. 결과부사(어)와 사건구조 = 103
4.2.1. '-게'형 결과부사(어)의 분포 = 104
4.2.2. '-게'형 결과부사(어)의 통사적 특성 = 113
4.2.3. '-게'형 결과부사(어)의 사건구조 = 117
4.3. 양태부사, 용이성부사와 사건구조 = 125
4.3.1. 부사 '잘'의 의미와 사건구조 = 126
4.3.2. 한국어에서의 중동 구문 설정 여부 = 129
4.3.3. 용이성부사 '잘'의 기능 = 133
4.4. 논항성 부사어의 처리 = 139
4.5. 마무리 = 145
4.6. 총괄-단일 사건과 VP-부사어 = 147

제5장 접속문과 사건구조 = 157
5.1. 들어가기 = 157
5.2. 부사절 설정과 접속문 체계 = 160
5.3. 복합 사건과 사건구조 = 168
5.3.1. 사건구조와 연결어미 '-면서' = 168
5.3.2. 사건구조와 연결어미 '-어서' = 172
5.3.3. 사건구조와 연결어미 '-고' = 175
5.4. 연결어미의 상적 기능 = 185
5.4.1. '관점 상'으로서의 연결어미 = 185
5.4.2. 사건의 상적 전이 = 192
5.5. 마무리 = 194

제6장 맺음말 = 197

참고문헌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