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부 공간말 ‘앞’과 ‘뒤’의 의미와 복합어 구성 연구
머리말
1. 들어가기 17
1.1. 연구 목적 17
1.2. 연구 대상과 범위 18
1.3. 앞선 연구 검토 22
1.4. 연구 방법과 방향 24

2. ‘앞’과 ‘뒤’의 의미와 의미 변화 29
2.1. 공간말과 ‘앞’, ‘뒤’ 29
2.1.1. 공간말의 개념 29
2.1.2. 공간말로서의 ‘앞’, ‘뒤’ 36
2.2.‘앞’과 ‘뒤’의 의미 변화 39
2.2.1. ‘앞’과 ‘뒤’의 분포와 의미 40
2.2.2. ‘앞’의 의미와 변화 47
2.2.2.1. 중세?근대국어에서 48
2.2.2.2. 현대국어에서 56
2.2.3. ‘뒤’의 의미와 변화 70
2.2.3.1. 중세?근대국어에서 70
2.2.3.2. 현대국어에서 78
2.2.4. 의미 변화의 과정 94

3. ‘앞’과 ‘뒤’의 문법화 98
3.1. 공간말 문법화의 양상 98
3.1.1. 임자씨 문법화의 전개 98
3.1.2. 공간과 시간의 상관성 106
3.2. 문법화의 과정 110
3.2.1. 공간 의미로의 확장 111
3.2.2. 시간 의미로의 확장 115
3.2.3. 추상 의미로의 확장 120
3.3. 문법화의 결과 127
3.4. ‘앞’과 ‘뒤’ 문법화의 특성 135

4. 앞’과 ‘뒤’로 형성된 복합어의 유형 139
4.1. 기본적 논의 139
4.2. 앞-복합어 145
4.2.1. 합성어에서 145
4.2.1.1. 임자씨 ‘앞-합성어’ 145
4.2.1.2. 풀이씨 ‘앞-합성어’ 157
4.2.2. 파생어에서 160
4.2.2.1. 임자씨 ‘앞-파생어’ 161
4.2.2.2. 풀이씨 ‘앞-파생어’ 164
4.2.2.3. 어찌씨 ‘앞-파생어’ 165
4.3. 뒤-복합어 166
4.3.1. 합성어에서 167
4.3.1.1. 임자씨 ‘뒤-합성어’ 167
4.3.1.2. 풀이씨‘뒤-합성어’ 177
4.3.1.3. 어찌씨‘뒤-합성어’ 181
4.3.2. 파생어에서 182
4.3.2.1. 임자씨‘뒤-파생어’ 183
4.3.2.2. 풀이씨‘뒤-파생어’ 189
4.4. 정리 198

5. ‘앞’과 ‘뒤’로 형성된 복합어의 의미 200
5.1. 기본적 논의 200
5.2. 합성어에서 204
5.2.1. 본디 의미에 따른 낱말 형성 204
5.2.2. 전이 의미에 따른 낱말 형성 217
5.2.2.1. 차례, 순서 의미에 따라 218
5.2.2.2. 시간 의미에 따라 228
5.2.2.3. 추상 의미에 따라 234
5.3. 파생어에서 239
5.4. 낱말 형성의 의미적 특성 253

6. 마무리 256
참고문헌 259
부 록 263


제2부 중세국어 ‘그?긔’의 문법화 연구
1. 들어가기 273
1.1. 연구 목적 273
1.2. 앞선 연구 검토 및 방향 276

2. ‘그?긔’의 짜임과 범주 280
2.1. ‘그?긔’의 짜임 280
2.2. ‘그?긔’의 범주 292

3. ‘그긔’의 문법화 300
3.1. 문법화의 개념 300
3.2. 문법화 1단계 307
3.3. 문법화 2단계 314
3.4. 문법화 3단계 319
3.5. ‘이긔’, ‘뎌긔’의 문법화 325
3.6. 문법화한 까닭 329

4. 마무리 338
참고문헌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