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비판과 성찰
제1장 문학연구의 문화론적 지평
-새로운 실증적·실용적 인문학을 위하여
1. 왜 문화론인가?
2. 문학과 문화에 대한 형이상학적 관점
3. 개념에서 텍스트로의 탈형이상학적 전환
4. 탈형이상학을 위한 두 가지 전략: 해체주의와 해석학적 기호학
5. 문화론의 지표: 새로운 실증성과 실용성을 위하여
제2장 국문학 담론의 탈형이상학적 지평
1. 위기들
2. 기억들
3. 독사doxa들
4. 균열들
5. 지평들
제3장 고전문학의 위기와 담론 쇄신의 실천
-생산적·실용적 인문학을 위하여
1. 위기의 고전문학
2. 고전문학에 대해 각인된 기억들
3. 고전문학, 그 이론과 담론의 쇄신
4. 실용적 인문학으로서의 고전문학 연구를 위하여
제4장 고전의 소통과 교양의 형성
-한국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1. 교양의 형성과 고전의 역할
2. 고전의 알레고리적 소통과 신화화
3. 고전의 시적 소통과 탈신화화
4. 세미오시스로서의 독해와 교양의 형성
제5장 구술성과 기술성의 통합과 확산
-국문학의 새로운 사유와 담론을 위하여
1. 해체, 통합과 확산을 위한 전략
2. ‘국문학’의 해체
3. ‘구술성/기술성’ 양항대립의 해체
4. 매체의 혁명과 맥락의 확산
5. ‘국문학’의 담론적 확산
제6장 ‘구술/기술’의 패러다임과 그 담화적 실현
1. ‘구비/기록’에서 ‘구술/기술’로
2. 구술성과 기술성, 그 복합적 실현
3. ‘구술/기술’ 패러다임의 시학적 실현
4. ‘구술/기술’ 패러다임의 문화적 확장
제7장 구술서사학의 현재와 미래
-구조주의에서 탈구조주의까지
1. 구술서사학을 위한 전제
2. 구조주의 서사학
3. 탈구조주의 서사학
4. 통합적 구술서사학을 위하여
제2부 방법과 실천
제8장 빛, 초월, 상징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읽기
1. 흰빛 혹은 상징
2. 노래에서 의례로
3. 의례에서 뮈토스로
4. 뮈토스에서 로고스로
5. 코드를 넘어서
제9장 다이어그램으로 읽는 처용설화
1. 다이어그램
2. 이동경로
3. 접점들
4. 위계들
5. 맺는말
제10장 윤동주 시의 기호계
1. 열린 담화세계로서의 기호계
2. <서시>에서 찾은 단서
3. 의미회로를 통한 기호작용
4. 의미생성과 문화적 맥락
제11장 김유정 <산골>의 공간수사학
1. 공간수사학의 이론적 전제
2. 논항기호로서의 텍스트: 본문과 제목의 추론적 관계
3. 공간의 지표성: 은유와 환유
4. 기호들의 충돌과 그 수사적 효과
5. 수사적 코드에서 문화적 코드로
제12장 도깨비의 기호학
1. 세미오시스로서의 도깨비
2. 세미오시스에 대한 발생기호학적 전제
3.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도깨비 세미오시스의 기술
4. 새로운 해석학적 상황과 세미오시스의 열린 가능성
제13장 아리랑의 기호학
1. 아리랑의 발생기호학
2. 후렴부의 시학적 장치와 의미효과
3. 후렴부와 가사부의 시학적 관련과 그 의미효과
4. 아리랑의 기호학을 위하여
제14장 진도씻김굿의 정념 구조
-파토스의 기호학을 위하여
1. 뮈토스, 로고스, 그리고 파토스
2. 파토스의 기호학을 위한 이론적 설계
3. 진도씻김굿의 정념 구조 분석
4. 남는 문제들
참고문헌
수록논문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