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머리에


제 1부 캐나다의 우리 아이들은 어떤 교육환경에서 공부할까?

1.캐나다의 교육제도.........................................................14
1)퀘벡 주의 교육제도.15
2)온타리오 주의 교육제도.18

2.캐나다의 제2언어교육.....................................................21
1)온타리오 주의 불어교육(FSL).21
2)퀘벡 주의 영어교육(ALS).32

3.캐나다의 계승어(제3언어)교육
1)이중언어에 관한 용어정리.36
2)계승어교육 프로그램(HLP).41
3)오타와 시의 계승어교육 사례.47

4.실제로 학생들은 어떻게 공부하고 있을까..............54
1)퀘벡 주 가띠노 시의 경우.54
2)온타리오 주 오타와 시의 경우.70


제2부 이중언어 환경에서 모어교육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1.요람에서 사춘기까지의 모어교육의 의미와 기능............82
1)엄마의 언어로 육아를 하는것이 왜 중요한가?.82
2)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94

2.가정에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112
1)모어교육을 위한 네 가지 기본조건.112
2)언어형성기에 따른 교육방법.131


제3부 재외동포 자녀의 한국어교육에 대하여

1.모어와 이중언어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어교육.........150
1)요람에서부터 학령기 전까지.150
2)학령기부터 사춘기까지.158
3)사춘기 이후의 한국어 관리.167

2.한국어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당면 과제..........171
1)교육수요자의 다양화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171
2)이중언어에 관한 정보 제공.173
3)한글학교 하는 통칭에 대하여.177


제4부 우리 주변의 가족 이야기

1.한국인 가정.......................................................182
1)예린이 할머니와 할아버지.182
2)S네는 외교관 가정.188
3)래미(來美)는 지금 사춘기.193
4)영특하고 의젓한 현영이.197
5)규민이네 가보(家寶).202
6)보미 언니 4형제는 부모를 보고 자랐다.210
7)인석이 할머니의 한 가지 회한(悔恨).215
8)우리들의 영웅 엄경자 회장님.221
9)모어(한국어)육아를 선택한1.5세 어머니.228

2.국제결혼가정..........................................235
1)재원이 엄마는 한국어 선생님.235
2)태어난 날부터 책을 읽은 다연이.239
3)예재의 한국어와 중국어.245
4)복동이의 한국어와 네팔어.250
5)일본 태생 동포.세 엄마와 딸 모니카(Monica).254
6)후타의 일본어와 중국어.260
7)그리스신화를 원어로 읽는 시아.266
8)마야와 사나의 일본어와아라비아어.272
9)겨울을 달리는 말,토마의 일본어와 영어.277
10)나쯔미네 엄마 아빠는 맞벌이 부부.284
11)마야와 마리카에게 1초라도 더 엄마의 말을.290
12)에미리와 미즈키의 일본어와 불어.297
13)일본어.영어.불어로 자라는 세 자매.303

3.인터뷰를 마치고.........................................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