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읽기 이론과 읽기 교육

제1장 읽기의 개념과 이해 과정 = 21
1. 읽기의 개념 = 21
가. 읽기와 독서 = 21
나. 독해와 독서 = 23
2. 읽기의 역할 = 24
3. 읽기 과정의 이해 = 28
4. 읽기 과정 모형 = 29
가. 상향식 과정의 읽기 모형 = 31
나. 하향식 과정의 읽기 모형 = 35
다. 상호작용 과정의 읽기 모형 = 38

제2장 글 구조와 읽기 교육 = 41
1. 텍스트 유형 = 41
가. 텍스트의 유형 분류 기준 = 41
나. 텍스트의 유형 분류 = 44
2. 설명적인 글 구조와 읽기 = 52
가. 설명적인 글 구조 분석 방법 = 52
나. 설명적인 글의 상위 구조 = 56
다. 상위 구조간의 구성력 정도 = 63
라. 설명적 글 구조 파악 전략 = 68
3. 이야기 글 구조와 읽기 = 72
가. 이야기 글 구조 분석 방법 = 72
나. 이야기 문법 구조 = 73
다. 이야기의 개념 = 78
라. 인과 연결망 이론 = 88
마. 이야기 구조 파악 전략 = 91

제3장 스키마 이론과 읽기 교육 = 94
1. 스키마의 개념과 기능 = 94
가. 스키마의 개념 = 94
나. 스키마의 기능 = 95
2. 스키마의 유형 = 102
3.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의 상호작용 = 105
가. 독자의 스키마 활성화 정도 = 106
나. 중요 정보 선택 과제 = 109
다. 스키마 사용 진술 과제 = 110
4. 배경지식 활성화 전략 = 114
5. 스키마 평가 방법 = 120

제4장 읽기의 맥락과 읽기 교육 = 124
1. 읽기 목적 = 125
2. 사회문화적 맥락 = 127
3. 상황 맥락 = 128
4. 상호텍스트성 = 131


제2부 읽기 능력 발달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제5장 읽기 능력 발달 단계와 읽기 교육 = 139
1. 읽기 능력 발달 단계 = 139
가. Chall의 발달 단계 모형 = 140
나. 천경록의 읽기 발달 단계 = 145
2. 독서 흥미 발달 단계 = 149
3. 읽기 부진의 특징과 원인 = 153
가. 읽기 부진의 개념과 특성 = 154
나. 읽기 부진의 원인 = 156
다. 읽기 부진아의 분류 = 161

제6장 초기 독서 단계의 읽기 교육 = 164
1. 초기 독서 단계의 읽기 과정 = 164
2. 초기 문자 지도 방법 = 166
가. 발음 중심 지도 방법 = 167
나. 의미 중심 지도 방법 = 169
3. 초기 문자 지도 변천 과정 = 172
4. 초기 독서 단계의 읽기 지도 내용 = 174
5. 읽기 과정 지시자로서의 오독(miscue) = 176

제7장 독서 교육 프로그램 = 185
1. 발달적 독서 프로그램 = 185
가. 쓰기 중심 독서 활동 = 187
나. 그리기 및 만들기 중심 활동 = 197
다. 연극 중심 독서 활동 = 202
2. 교정 독서 프로그램 = 205
3. 치료 독서 프로그램 = 213
4. 임상 독서 프로그램 = 213


제3부 읽기 지도 내용과 어휘지도

제8장 읽기 지도 내용 구성 = 216
1. 읽기 지도 내용 = 216
2. 읽기 전략의 유형 = 221
3. 읽기 전략의 지도 내용 = 224
가. 질문하기 = 224
나. 훑어보기 = 230
다. 건너뛰며 읽기 = 231
라. 추론하기 = 231
마. 중심 생각 찾기 = 238
바. 요약하기 전략 = 239
사. 초인지 = 241
아. 독서 동기 유발하기 = 247
4. 읽기 과정별 읽기 전략 = 255

제9장 어휘와 읽기 교육 = 258
1. 어휘력과 읽기 능력 = 258
2. 어휘 지도 이론 = 259
3. 어휘 지도 원리 = 260
4. 어휘 지도 방법 = 262
가. 사전적인 뜻 익히기 = 263
나. 문맥을 통한 뜻 익히기 = 264
다. 의미지도 그리기 = 266
라. 의미 구조도 그리기 = 267


제4부 읽기 지도 방법과 평가

제10장 문학작품 읽기 지도 방법 = 273
1. 텍스트 읽기의 개념 = 273
2. 텍스트 해석의 불확정성 = 275
3. 독자 반응 이론 = 277
4. 읽기의 두 가지 방향 = 280
가. 반응 중심 이론과 학습 독자 = 280
나. 심미적 읽기와 원심적 읽기 = 282
5. 문학 작품에 대한 반응 = 287
가. 반응의 유형 = 287
나. 반응의 범주 및 분류 체제 = 289
다. 문학 반응의 발달적 특성 = 293
6. 심미적 읽기 지도 방법 = 296
가. 심미적 읽기 지도의 원리 = 296
나. 심미적 읽기 수업 모형 = 298
다. 문학 작품 보고서 쓰기 = 299

제11장 전략 중심의 읽기 교수 학습 방법 = 304
1. 전략 중심 읽기 수업 모형 = 304
2. 직접 교수법 = 305
3. 현시적 교수법 = 309
4. 상보적 교수법 = 311
5. 전략 중심의 읽기 수업 모형의 의의와 한계점 = 315

제12장 협동학습 방법 = 318
1. 지식의 사회적 구성 = 318
2. 협동학습의 특징과 의의 = 320
3. 협동학습의 기본 요소 = 322
4. 협동학습의 유형 = 326
가. 팀 성취도 배분 학습 = 326
나. 토너먼트 게임식 팀학습 = 331
다. 직소 모형 = 333
라. 함께 학습하기 모형 = 337
마. 집단 탐구 모형 = 338
바. 읽기 쓰기 통합 모형 = 340
사. 독서 클럽 = 342
5. 협동학습을 위한 읽기 활동 = 345

제13장 독서토의 수업 모형 = 349
1. 이야기식 독서토의 = 350
가. 이야기식 독서토의의 과정 = 350
나. 이야기식 독서토의의 독서일지 양식 = 352
2. 통합적 독서토의 = 352
가. 통합적 독서의 토의 과정 = 352
나. 통합적 독서토의의 독서일지 양식 = 354
3. 토의망식 토의 = 355
가. 토의망식 토의 과정 = 355
나. 토의망식 토의의 독서일지 양식 = 358

제14장 읽기 평가의 원리와 방법 = 359
1. 읽기 평가의 원리 = 359
2. 읽기 평가 방법 = 361
가. 선다형 평가 = 361
나. 빈칸 메우기법(cloze test) = 362
다. 중요도 평정법 = 365
라. 오독 분석법(reading miscue analysis) = 367
마. 프로토콜 분석법(protocol analysis) = 370
바. 포토폴리오(간이총평법, 읽기 활동철) = 373
사. 관찰법 = 374
아. 자유 회상법 = 377


제5부 읽기 연구의 발전과 전망

제15장 읽기 연구의 발전 = 381
1. 구조주의와 구성주의 = 381
2.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 = 383
3. 읽기 연구 발전 방향 = 385

제16장 구성주의와 읽기 교육 = 387
1. 읽기 교육의 구성주의 패러다임 = 387
2. 구성주의의 개념과 유형 = 390
가. 인지 구성주의 읽기 관점 = 390
3. 구성주의 읽기 교육 원리 = 399
4. 구성주의 읽기 교수 학습 이론 = 402
가. 인지적 도제 이론 = 402
나. 토의 중심 읽기 수업 모형 = 403
다. 교사의 비계 설정 방안 = 406

제17장 정보화 시대와 읽기 교육 = 409
1.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 = 409
2. 매체 언어의 수용 형태 = 411
가. 학교교육으로 실행하는 방안 = 411
나. 국어 교육으로 실행하는 방안 = 412
3. 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교육의 개념 = 415
4. 매체 언어의 국어교육적 요소 = 417
5. (읽기와 보기) 영역의 설정 = 424
6. 매체 언어의 교재화 방안 = 427
7.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 = 429

참고문헌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