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Ⅰ. 문학교육의 현상과 지형
제1장 평생교육 사회와 문학교육
제2장 문학교육의 위계성과 차별성
제3장 문학교육과 공동체적 연대감

Ⅱ. 고전문학 교육의 다층적 양상
제1장 고전문학 교육 연고 동향과 전망
제2장 고전시가 교육 연구 방법론의 재검토
제3장 고전시가 교육과 시각 매체
제4장 사범대학 학습자 관점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재미 고찰

Ⅲ. 조선시대 문학의 다각적 해석
제1장 ''계해반정''에 대한 향반층의 문학적 대응
제2장 <오륜가>에 나타난 ''우정''에 대한 인식과 그 양상
제3장 <만분가>: 초기 유배가사의 정서 표출 양상
제4장 <만언사>: 후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자기 연민의 시선
제5장 <선상탄>과 <누항사>, 표현의 사실성과 문제 해결의 관념성
제6장 <소유정가>의 구성 방식과 문학적 가치
제7장 ''계몽''과 ''소통''의 변증법적 논리 성찰
: 고은지, 『계몽가사의 소통환경과 양식적 특징』(보고사,2009)

Ⅳ. 주변에서 중심 파악하기
제1장 제주학, 무엇을 어떻게 품어야 하는가?
제2장 제주 유배 체험과 그 문화적 성격
제3장 제주인의 동아시아 인식과 그 의미
제4장 <瀛州十景歌(영주십경가)>: 제주의 절경 돌아보기
제5장 ''검은바다''와 더불어 사는 사람들 이해하기
: 김영돈,『한국의 해녀』(민속원,1999)
제6장 ''중심''과 ''주변''의 문화 변증법적 논리
: 허남춘, 『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 신화』(보고사, 2011)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