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고전문학 교육의 다층적 양상
제1장 고전문학 교육 연고 동향과 전망
제2장 고전시가 교육 연구 방법론의 재검토
제3장 고전시가 교육과 시각 매체
제4장 사범대학 학습자 관점을 통해 본 고전문학의 재미 고찰
Ⅲ. 조선시대 문학의 다각적 해석
제1장 ''계해반정''에 대한 향반층의 문학적 대응
제2장 <오륜가>에 나타난 ''우정''에 대한 인식과 그 양상
제3장 <만분가>: 초기 유배가사의 정서 표출 양상
제4장 <만언사>: 후기 유배가사에 나타난 자기 연민의 시선
제5장 <선상탄>과 <누항사>, 표현의 사실성과 문제 해결의 관념성
제6장 <소유정가>의 구성 방식과 문학적 가치
제7장 ''계몽''과 ''소통''의 변증법적 논리 성찰
: 고은지, 『계몽가사의 소통환경과 양식적 특징』(보고사,2009)
Ⅳ. 주변에서 중심 파악하기
제1장 제주학, 무엇을 어떻게 품어야 하는가?
제2장 제주 유배 체험과 그 문화적 성격
제3장 제주인의 동아시아 인식과 그 의미
제4장 <瀛州十景歌(영주십경가)>: 제주의 절경 돌아보기
제5장 ''검은바다''와 더불어 사는 사람들 이해하기
: 김영돈,『한국의 해녀』(민속원,1999)
제6장 ''중심''과 ''주변''의 문화 변증법적 논리
: 허남춘, 『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 신화』(보고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