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1부 지평과 전통
민요〈아리랑〉에 대한 북한의 인식 태도 :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신문ㆍ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 김영운 = 15
1. 머리말 = 15
2. 아리랑 관련 북한 측 자료의 성격 = 18
3. 아리랑 및 그 유래와 전승에 대한 이해 = 21
4. 개별 아리랑계 악곡의 유래와 특징에 대한 저술 = 38
5. 아리랑 인식에 대한 남북의 관점 = 42
6. 맺는말 = 45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 : 음원ㆍ악보자료에 의한 악곡유형 분류 / 김영운 = 49
1. 머리말 = 49
2. 북한의 아리랑 관련 자료 = 52
3. 북한 아리랑계 악곡의 유형 검토 = 64
4. 맺는말: 북한 아리랑계 악곡의 종류 = 88
북한판〈춘향전〉을 통해 본 민족문화유산 전승의 함의 / 전영선 = 97
1.〈춘향전〉을 북한식으로 이해한다는 의미 = 97
2. 민족문화에 대한 북한의 수용 자세 = 100
3.〈춘향전〉윤색의 특성 = 109
4. 북한〈춘향전〉을 통해 본 남북문화의 접점과 균열 = 124
박연에 대한 북한 학계의 연구성과와 평가 / 배인교 = 129
1. 사회주의 북한과 봉건시대 음악가 박연 = 129
2. 박연 업적에 관한 북한 학계의 연구성과 검토 = 132
3. 북한 음악사에서 박연의 위치 = 146
4. 김정일 음악정치의 정당성과 박연 = 151
몽골 야탁교본에서 본 북한음악 / 박소현 = 155
1. 북한 가야금과 몽골 야탁의 특별한 인연 = 155
2. 몽골 야탁교본에 수록된 북한음악 = 158
3. 북한 가야금과 몽골 야탁교본의 수록곡 비교 = 163
4. 북한 가야금 연주자 김종암에 의한 몽골 야탁음악 = 175
2부 기억의 심상과 표상
남북 역사소설에 형상화된 ''간도''의 심상지리적 인식과 심상지도 / 임옥규 = 181
1. 남북 역사소설과 간도 = 181
2. ''간도'' 형상화한 남북 역사소설의 심상지리적 인식 = 183
3. 장소이동에 따른 ''간도''의 심상지도 = 201
4. 남북 역사소설에서 ''간도''의 장소적 의미 = 206
남북한 전쟁영화와 민족 표상 :〈돌아오지 않는 해병〉과〈월미도〉를 중심으로 / 정영권 = 211
1. 남북한의 전쟁영화 = 211
2. 숙명론적 영웅주의와 혁명적 낭만주의 = 214
3. 영화와 이데올로기, 그 충돌의 지점 = 226
분단 상처와 치유의 상상력 : 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 / 오창은 = 231
1. ''한국전쟁'', 비극의 체험 = 231
2. 민중문화의 전통과 낙천성 = 235
3. 공동체를 옹호하는 민중서사 = 242
4. 배설과 치유의 상상력 = 248
5. 하근찬 문학과 민중의 언어 = 253
김학수의 트라우마, 그 기억 속의 역사 / 박계리 = 259
1. 머리말 = 259
2. 평양과 김학수 = 260
3. 역사풍속화 = 263
4. 역사인물화: 충효위인전과 기독교 역사화 = 271
5. 결론 = 279
3부 지향과 현실
북조선 소설 연구를 위한 제언 / 남원진 = 287
1. 북조선 소설 연구의 문제성 = 287
2. 북조선 문학예술 기관지 현황 = 295
3. 중편ㆍ장편소설, 단편집, 작품집 현황 = 309
4. 원본 수집과 공동 연구의 필요성 = 316
남한의 북한미술연구사: 1979∼2010 / 홍지석 = 321
1. 남한의 북한미술연구: 양상과 관점 = 321
2.『북한미술』(1979): 냉전시대의 북한미술 연구 = 323
3. 북한미술 연구의 탈냉전적 방향전환: 1990년 전후 = 329
4. 2000년 이후: 북한미술 연구의 최근 동향 = 340
5. 북한미술연구의 최근 경향과 과제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