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국역: 율곡 <사서언해>와 <사서> 한글번역의 과제
1. 율곡 <사서언해>의 성격
2. <사서율곡언해>의 저작 배경
3. 관본언해(官本諺解)와 율곡언해(栗谷諺解)의 양립과 활용
4. <사서언해>에서 해석상의 문제와 쟁점
5. <사서> 한글번역의 과제
6. <사서> 한글번역에서 ‘언해’가 지닌 의미

2. 율곡의 <성학집요>와 <대학>체계의 확장
1. <성학집요>의 성격
2. <성학집요>의 저술동기와 구조
1) <성학집요>의 저술동기
2) <성학집요>의 구조
3. 성학(聖學)의 사유기반과 신념
1) ‘성학’의 인식과 방법
2) ‘성학’의 이념과 ‘도통’(道統)의식
4. 인격실현의 방법과 과제-수기(修己)
1) ‘수기’의 방법과 절차
2) ‘수기’의 과제에 대한 분석
5. 성학의 사회적 실현과제
1) 사회의 기반으로서 가정-정가(正家)
2) 국가통치의 실현과제-위정(爲政)
6. <성학집요>의 의미와 특성

3. 이휘일·이현일의 <홍범연의>와 경학의 경세론적 확장
1. <홍범연의>(洪範衍義)의 경학적 성격과 과제
2. ''홍범''편의 이해와 한국유교의 ''홍범''편 인식
1) ''홍범''편의 연원과 경전간의 연관성
2) 한국유교의 ''홍범''편 이해
3. <홍범연의>의 편찬과정과 구성체계
1) <홍범연의>의 저술동기와 편찬과정
2) ‘구주’의 구조인식과 <홍범연의>의 구성체계
4. <홍범연의>에서 황극의 건립과 실현
1) ‘황극’ 건립의 4범주(五行·五事·八政·五紀)
2) 황극(皇極)의 인식
3) 황극 실현의 4범주(三德·稽疑·庶徵·福極)
5. <홍범연의>체제의 특성과 경세론적 의미

4.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의 경학과 경세론적 인식
1. 김평묵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문제
2. 경전이해의 도학적 관점
1) 도통론적 경전인식과 ‘정본’(定本)의 확인
2) <근사록>의 존숭과 고증적 경전분석의 거부
3. ‘사서’(四書) 해석과 경세론적 이해
1) <대학>·<중용> 해석의 경세론적 성격
2) <논어>·<맹자>의 경세론적 이해
4. ‘오경’(五經) 해석과 경세론적 이해
1) 오경(五經)의 경세론적 이해
2) 척양론(斥洋論)의 인식과 경학적 활용
5. <치도사의>(治道私議)의 경세론과 경학적 활용
1) <치도사의>의 경세론적 인식
2) 경장(更張)의 인식과 한계
6. 김평묵의 경학과 경세론 인식이 지닌 의미

5. 박장현의 <해동춘추>·<반도서경>과 민족역사의 경전화
1. 박장현의 경학과 민족의식의 문제
2. 근대유교의 민족의식과 종교적 각성
3. 박장현의 공교(孔敎)인식과 경학적 과제
1) 생애와 유교진흥책임의 각성
2) 경전과 민족사의 통합적 재구성
4. <해동춘추>의 편찬의도와 구성체제
1) <해동춘추>의 편찬의도
2) <해동춘추>의 구성체제
5. <반도서경>의 편찬의도와 구성체제
1) <반도서경>의 편찬의도
2) <반도서경>의 구성체제
6. <해동춘추>와 <반도서경>이 지닌 성격과 의미

참고문헌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