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1910년대 유학생 잡지와 근대소설

제1장 서론 = 15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 15
2. 연구 대상 및 목적과 방법 = 28

제2장 1910년대 일본유학과 근대적 지식인의 등장 = 35
1.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자기규정과 잡지 발간 = 35
1) 1910년대 일본유학의 성격과 유학생들의 자의식 = 35
2) 유학생 잡지 발간과 유학생 글쓰기의 특징 = 55
2. 지식권력과 젠더의 상관관계 = 72
1) 남성지식인의 정체성 수립과 여성에 대한 이중의 시선 = 72
2) 여성 지식인의 자기 정체성 수립 과정 = 88

제3장 새로운 윤리주체로서의 유학생과 근대적 문학관의 수립 = 106
1. ''정''의 발견과 근대적 문학관의 수용 = 106
1) 유학생들의 인정투쟁과 자기 확립 = 106
2) ''정''의 수용을 통해서 본 근대적 문학관의 수립 = 119
2. 미적 감수성의 분화와 심미적 개인의 탄생 = 135
1) 내면 창출로서의 감정과 근대예술에 대한 열망 = 135
2) ''속사람''의 발견과 근대적 개체들 간의 소통으로서의 애정 = 149

제4장 ''근대소설''의 수용과 근대예술의 실천 = 167
1. 계몽의 후퇴와 사실성의 강조 = 167
1) ''사실'' 소설의 등장 = 167
2) 자기 삶의 투영으로서 유학생의 자전적 소설 = 185
2. 자아탐색의 확대와 현실인식의 심화 = 199
1) 자기성찰로서의 고백서사 = 199
2) 타자로의 인식확장과 현실인식의 심화 = 209
3. 음악잡지의 발간과 근대단편의 이해 = 224
1) 음악잡지『삼광』등장의 의미 = 224
2) 번역물을 통해 본 근대단편의 이해와 새로운 서술방식 = 244

제5장 결론 = 262


제2부 1920년대 전후 잡지를 통해서 본 매체분화와 근대적 문학관의 전개

제1장 예술(영화)잡지『녹성』연구 = 271
1. 조선 최초의 예술(영화)잡지의 탄생 = 271
2.『녹성』발간의 배경 = 275
1) ''경성청년구락부''와『신청년』, 그리고『녹성』과의 친연성 = 275
2)『신청년』과『녹성』사이의 방정환 = 283
3. 영화잡지를 지향한『녹성』의 매체적 특징 = 286
1) 문예와 연예를 결합시킨 대중잡지의 등장 = 286
2)『녹성』에 드러난 영화서사의 소비방식 = 295
4. 나오는 말 -『녹성』을 통해 본 잡지의 대중화 전략 = 302

제2장 잡지『서울』연구 - 1920년대 개조론의 대세 속『서울』창간의 배경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 304
1. 장도빈의『서울』발간과 잡지의 변모과정 = 304
2. 민족개조사업과 탈식민 사이의 간극과 저항 = 311
3. ''문예부록''을 통해서 본『서울』의 성격과 근대문예에 대한 의식 = 320
4. 1920년대 언론잡지로서『서울』의 의의 = 327

제3장 1920년대 유학생 잡지『현대』연구 -『기독청년』에서『현대』로 재발간되는 과정과 매체 성격의 변모를 중심으로 = 330
1. 들어가는 글 - 학우회와 동경기독교 청년회 그리고 이들 기관지 사이의 친연성 = 330
2. 종합사상지를 지향한『현대』의 매체적 특징 = 3344
1) 객관으로서 국제정세 소개하기 = 334
2) 조선사회의 당면과제와 ''문화운동''의 필요성 = 343
3. 기독교청년회 기관지로서의『현대』특징 = 347
1) 종교평론을 통해서 본 기독교잡지로서의 면모 = 347
2) ''조선기독청년회''기관지로서『현대』읽기 = 353
4. 유학생 잡지로서『현대』가 갖는 의의 = 356

제4장 문예지『생장』연구 - 일인 잡지로서의 한계와 성과를 중심으로 = 360
1. 김형원과『생장』발간의 배경 = 360
2.『생장』속에 드러난 문예관의 특질 = 366
3.『생장』구성상의 특징과 일인 잡지로서 갖는 한계점 = 371
4. 문예지『생장』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 = 380
5.『생장』연구의 의미 = 384

참고문헌 = 386
간행사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