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내용과 형식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강령과 창작의 실제 / 임옥규 = 13
1. 북한문학예술의 창작 토대 = 13
2. 강령: 진보와 민족 = 17
3. 창작의 실제 = 24
4.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위상 = 45
수령형상 문학의 선봉, 계급성 논쟁의 핵심, 백인준 / 전영선 = 51
1. 수령형상 문학예술의 대부, 백인준 = 51
2. 유일사상체계화 과정과 수령형상화 = 54
3.〈최학신의 일가〉논쟁과 주체사실주의 정립 = 61
4. 반동 작가에서 대문호가 된 문제적 작가, 백인준 = 69
「개벽」과 토지개혁 / 남원진 = 73
1.「개벽」연구의 필요성 = 73
2. 리기영의「개벽」판본과 개작과정 = 77
3. 토지개혁과 북조선 문학사의 평가 = 99
4. 판본의 수집 및 공동 연구의 필요성 = 113
전후복구시기 북한 노동계급의 성격화 양상 / 오창은 = 121
1. 노동의 ''활력'',문학의 ''생동'' = 121
2. 식민지 시대의 작가에서 ''노동자들이 사랑한 작가''로 = 125
3. 이상화된 주인공과 이상적 주인공 = 129
4. 시대와 인간:『시련속에서』의 인물 성격화 양상 = 135
5. 노동현장의 시련속에서 = 142
2부 역사와 장르
왜곡과 은폐의 북한문학사, 시인 ''이찬''을 소화한 방식 / 김수복 ; 강민정 = 149
1. 문학사적 내러티브와 시인 이찬(李燦) = 149
2. ''프로시'' 활동과 초기 북한문학사의 평가 = 151
3. ''친일문학'' 활동의 은폐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문학 = 159
4. 항일혁명문학으로의 왜곡과 수령형상문학으로의 부각 = 165
5. 북한문학사가 시인 이찬을 소화한 방식 = 173
북한미술의 기원 / 홍지석 = 177
1. 기원 찾기, 또는 기원 만들기 = 177
2. 북한에서 카프미술의 위상 변화 = 180
3. 항일혁명미술의 발굴과 위상 강화 = 190
4. 북한미술의 실질적 기원으로서 조선화의 위상 강화 = 198
5. 내용의 기원과 형식의 기원 = 206
북한 혁명연극의 기원과 연극〈성황당〉/ 박덕규 ; 김미진 = 211
1. 북한의 연극과 연극혁명 = 211
2. 혁명연극의 의미 = 214
3. 갈등 표출 양상 = 222
4. 나오며 = 233
북한 ''민요풍 노래''에 나타난 민요적 전통성 / 배인교 = 237
1. 북한의 신민요 계승: ''민요'' 스타일 노래 = 237
2. 민요풍 노래의 음계 검토 = 241
3. 민요풍 노래의 전통과 변형 = 258
4. 민요풍 노래의 음악사적 의의 = 262
찾아보기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