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공적인 말하기(Media Speech)
1. why : 왜 공적인 말하기가 중요한가?
1) 공정성과 공익성
박애주의적 경어법 / 진행병 / TPO 스피치
2) 긍정성과 진정성
긍정스트레스 / 달변가는 싫다 / 조급증은 NO
3) 간결체와 두괄식
교장 선생님의 훈화 / 동방예의지국과 빨리빨리 문화의 충돌 / 보고서 문화가 독이다
2. what : 무엇이 공적인 말하기에 필요한가?
1) 공감의 언어
감성지능 / 진화하려면 반응하라
2) 경청의 스킬
경청리더십 / 꿈보다 해몽
3) 울렁증 극복
울렁증의 원인 / 프로와 아마추어 / 낙천적 무대체질 VS 소심한 완벽주의
3. how : 어떻게 공적인 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1) 음성언어
호흡의 중요성, 도를 아십니까? / 고양이 발성과 호랑이 발성 / 구어체 표현의 기본 - 톤(Tone), 축약(語調) 포즈(Pause), 어조(語調), 속도(速度), 키워드(Keyword) / 받침과 이중모음 / 경음과 격음 / 장단음과 수의 표현 / 유형별 발음연습법 / 헷갈리는 발음과 외래어
2) 시각언어
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 / 대중매체를 활용한 공인의 이미지 / 울상 VS 웃상 / 초보 아나운서의 곁눈질 / 마이크와 연단 자세 / 제스처 / 프롬프터 활용법
3) 내용언어
OBC 스피치는 체계적 말하기 / 나만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라
4) 인성언어
팩트보다 언품 / 직장 내 언어예절 / 말하기의 기본은 배려 / 겉모습 지적은 금물 / YB 화법을 사용하라
제2장 리더의 말하기(Success Speech)
1. 공직자의 말하기
1) 과유불급
공적인 말하기 / 잘못된 공적인 말하기 사례 / 독특한 어조 없애기
2) 목적이 있는 프레젠테이션
청중의 특성을 파악하라 / 시간을 엄수하라
3) 핵심을 전하는 보고 기법
직장에서의 보고언어
4) 효과적인 언론응대 브리핑 & 인터뷰
신뢰감을 주는 목소리 / 비언어적 소통 / 방송 인터뷰 사례 (김현정의 뉴스쇼: 이낙연 총리 출연)
5) 순발력 있는 즉흥스피치
즉흥스피치 / 교양스피치 / 감성스피치 / 면접스피치 / 토론스피치
6) 공무원 활용 실전 원고
암행어사 사례 발표 / 100원 택시 사례 발표 / 프레젠테이션 - 출산대책 / 회의 진행과 보고 / 기념행사와 시상식 진행 / 토론회 진행
2. 정치인의 말하기
1) 정치인의 흡인력 있는 말하기
미디어스피치 / 감정을 유발하라 / 사과와 인정 / 한 방에 훅 가는 성적 비하 발언 / 용서받기 어려운 갑질 막말 / 액션플랜 / 빅토크와 스몰토크 / 리더의 인간적인 매력 / 보이는 것이 결과보다 중요할 수 있다
2) 목적이 있는 연설
유명 연설문의 단순성 / 준비된 애드리브
3) 핵심을 전하는 공약
카테고리로 풀어라 / 시·도의원 선거공약 발표 큐시트 예 / 우회적 표현
4) 효과적인 언론응대
원칙과 정도를 지키는 언론응대 / 상황을 주도하는 언론브리핑과 인터뷰 / 위기상황 대처 / 특검 언론브리핑 인터뷰 / 유명 정치인의 음성 표현과 화법 이미지 특징
5) 도전! 즉흥스피치
의미 있는 건배사 / 즉흥 인사말과 축사 순서
6) 정치인 활용 실전 원고
독도는 우리 땅(노무현 전 대통령 연설문) / 마틴 루터 킹 연설문 / 스티브 잡스 연설문 / 시·도의원 주제 발언 예시(BEFORE & AFTER) / 인사말 축사 예시(다문화가정 멘토링 사업 협약식) / 청문회, 행정사무감사 주요 질문 요약 / 행정사무감사에 대한 답변 요령
3. 전문직의 말하기
1) 교수의 강의 스피치
청중의 다양성을 이해하라 / 기억에 남는 강의스킬 3가지 / 명강의를 위한 최종점검, 강의평가를 참고하라 / 강의스피치 내용구성 예시
2) 의사의 전문지식 전달스피치
의사와 환자, 지식의 공백 / 병원 흥망성쇠의 KEY, 공감소통 / 엄마 손은 약손, 플라시보 / 의사의 발표능력 / 의사도 사회자가 된다, 학회 진행 / 의료인 활용 실전원고(전문지식 전달스피치 예시, 의사의 방송 출연 스피치 예시, 한의사의 방송 출연 스피치 예시)
3) 법조인의 설득스피치 … 214
논리적인 말하기 / 질문하는 법, 질문에 제대로 답하는 법 / 빈틈없이 명료한 언어표현 / 역지사지 팀워크 / 법조인의 스타일링 / 법조인에게 필요한 공감스피치 / 법조인 활용 실전원고(법조인 윤리선언, 변호사의 방송 출연 스피치 예시)
제3장 최고의 말하기(Best Speech)
1. 알아둬야 할 우리말
‘왠지’와 ‘웬지’ / ‘열사’와 ‘의사’의 차이 / ‘백분률’과 ‘백분율’ 표기 /
‘퍼센트’와 ‘포인트’ / ‘바람’과 ‘바램’ / ‘주책없다’와 ‘주책이다’ / ‘내노라하다’와 ‘내로라하다’ / ‘구절’과 ‘귀절’ / ‘가능한 빨리’와 ‘가능한 한 빨리’ / ‘되라’와 ‘돼라’ / ‘부치다’와 ‘붙이다’ / ‘너머’와 ‘넘어’ / ‘-던지’와 ‘-든지’ / ‘반드시’와 ‘반듯이’ / 정년퇴임 때 인사말 / 병문안 갔을 때 인사말 / 문상 갔을 때 인사말 / ‘말씀이 계시겠습니다’는 잘못된 표현
2. 잘못 사용하기 쉬운 우리말
표준발음법 / 자주 틀리는 맞춤법
3. 옴부즈맨 TV와 비평
한미 정상 회담과 언론보도 / 제19대 대통령 취임과 언론보도 / 제19대 대선후보 TV토론회 이후 언론보도 / 미중 정상회담 이후 언론보도 / 박영수 특검 종료와 언론보도 / 주요 대선주자들의 행보와 언론보도 / 막 오른 트럼프 시대와 언론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