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한시이해와 창작을 위한 필수 용어
- 운자(韻字)와 압운(押韻)
- 귀원전거(歸園田居)
- 춘망(春望)
- 하삼평(下三平), 하삼측(下三仄), 고평(孤平) 금지, 2/4, 2/4/6 부동, 점대(粘對), 대장(對仗)원칙
1) 2/4 평/측 부동(不同)
2) 고평(孤平) 금지
3) 하삼평(下三平), 하삼측(下三仄) 금지
4) 점대(粘對) 원칙
5) 대장(對仗)
6) 평/측 구분방법
제2장 한시의 종류에 따른 작법
1. 고체절구
- 정야사(靜夜思)
- 칠보시(七步詩)
- 사시(四時)
- 강설(江雪)
-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 죽리관(竹里館)
- 춘효(春曉)
- 호지화초(胡地花草)
- 모강음(暮江吟)
- 어사출두시(御史出頭詩)
- 백두산석마도진(白頭山石磨刀盡)
- 산중문답(山中問答)
- 산중여유인대작(山中與幽人對酌)
- 허언시(虛言詩)
- 설중한매(雪中寒梅)
- 설경(雪景)
- 송병(松餠)
- 백구(白鷗)
- 묘향산(妙香山)
2. 근체절구 창작방법
- 등관작루(登雀樓)
- 매화(梅花)
- 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
- 청명(清明)
- 산행(山行)
- 규원(閨怨)
3. 율시(律詩)의 작법
- 춘망(春望)
- 등고(登高)
제3장 율시의 대장(對仗)
1. 공대(工對)
2. 관대(寬對)
3. 인대(因對)
4. 자대(自對)
5. 접대(接對)
6. 선대(扇對)
제4장 변격(變格)율시 창작방법
- 황학루(黃鶴樓)
- 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
제5장 합장(合掌) 대장(對仗)의 금기사항인 뇌동(雷同)
- 도중한식(途中寒食)
- 춘일유장제거원지(春日遊張提擧園池)
제6장 배율(排律)시
- 증왕이십사시어설사십운(贈王二十四侍禦契四十韻)
- 한우조행시원수(寒雨朝行視園樹)
제7장 부득(賦得)체 과거시험을 위한 시
- 부득고원초송별(賦得古原草送別)
제8장 고체(古體)시 압운의 변화과정과 작법
- 관저(關雎)
- 연가행(燕歌行)
-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제9장 전고(典故)와 성어(成語)를 인용한 시
- 추야우중(秋夜雨中)
- 빈교행(貧交行)
제10장 회문(回文)시 특수한 형태의 고시
- 선기도(璿璣圖)
제11장 사(辭), 부(賦), 악부(樂府)시
- 귀거래사(歸去來辭)
- 장진주(將進酒)
제12장 한시창작을 위한 종합제언
제13장 독자의 난(欄)
제14장 운서(韻書)
1. 운자(韻字)와 압운(押韻)
2. 운서(韻書)의 변화과정
3. 율시에서 압운(押韻)의 금기사항
4. 창화(唱和)
5. 현대한어의 성조(聲調)와 평/측의 상관관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