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강 국어사의 연구 방법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 방법
1.2.1. 문헌 자료의 연구
1.2.2. 비교방법
1.2.3. 내적 재구
1.2.4. 방언의 연구
1.3. 언어 변화의 유형
1.3.1. 음운 변화
1.3.2. 문법 변화
1.3.3. 어휘 변화
1.4. 국어사 연구의 동향

제2강 국어의 계통
2.1. 언어의 계통적 분류
2.2. 알타이어족
2.2.1. 알타이 제어
2.2.2. 알타이 제어의 공통특질론
2.3. 국어와 알타이 제어의 비교
2.3.1. 음운의 비교
2.3.2. 문법의 비교
2.3.3. 어휘의 비교
2.4. 국어와 일본어의 비교
2.5. 국어의 계통적 위치

제3강 국어의 형성
3.1. 고조선의 언어
3.2. 부여계 제어
3.3. 한계 제어
3.4. 고구려어
3.5. 백제어
3.6. 신라어
3.7. 중세국어
3.8. 국어사의 여러 단계

제4강 문자 체계
4.1. 한문의 정착
4.2. 고유명사 표기
4.3. 이두
4.4. 구결
4.5. 향찰
4.6. 훈민정음

제5강 고대국어
5.1. 자료
5.2. 표기법
5.3. 음운
5.4. 문법
5.5. 어휘
5.6. 향가 해독의 방법

제6강 전기 중세국어(1)
6.1. 중세국어의 성립
6.2. 자료
6.2.1. 『계림유사』
6.2.2. 『향약구급방』
6.2.3. 차용어 자료
6.2.4. 기타 자료
6.3. 표기법
6.3.1. 『계림유사』의 표기법
6.3.2. 『향약구급방』의 표기법

제7강 전기 중세국어(2)
7.1. 음운
7.1.1. 자음 체계
7.1.2. 모음 체계
7.2. 어휘
7.2.1. 『계림유사』와 『향약구급방』의 어휘
7.2.2. 몽골어 차용어
7.2.3. 여진어 차용어
7.2.4. 한자어

제8강 후기 중세국어(1)
8.1. 문헌 자료의 특징
8.2. 15세기 간행 자료
8.2.1. 『조선관역어』
8.2.2.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자료
8.3. 16세기 간행 자료

제9강 후기 중세국어(2)
9.1. 훈민정음 체계
9.1.1. 초성 체계
9.1.2. 중성 체계
9.1.3. 병서와 연서
9.1.4. 합자와 방점
9.2. 표기법
9.2.1. 15세기 맞춤법의 원리
9.2.2. ''사이시옷'' 표기
9.2.3. 한자음 표기

제10강 후기 중세국어(3)
10.1. 자음
10.1.1. 된소리
10.1.2. 유성마찰음
10.1.3. 자음 체계
10.1.4. 어두자음군
10.1.5. 음절말 자음
10.2. 모음
10.2.1. 단모음 체계
10.2.2. 이중모음 체계
10.2.3. 모음조화
10.3. 성조

제11강 후기 중세국어(4)
11.1. 조어법
11.1.1. 합성어
11.1.2. 파생어
11.2. 곡용
11.2.1. ''ㅎ'' 말음 명사
11.2.2. 비자동적 교체
11.2.3. 격조사
11.2.4. 대명사의 곡용
11.3. 특수조사

제12강 후기 중세국어(5)
12.1. 활용
12.1.1. 어간의 교체
12.1.2. 선어말 어미
12.1.3. 어말 어미
12.1.4. 계사의 활용
12.2. 첨사
12.3. 문장 구조
12.4. 어휘
12.4.1. 고유어
12.4.2. 한자어
12.4.3. 중국어 차용어
12.4.4. 어휘 개신

제13강 근대국어(1)
13.1. 자료
13.1.1. 언해서
13.1.2. 역학서
13.1.3. 윤음
13.1.4. 문학서
13.1.5. 학술서
13.2. 문자 체계와 표기법
13.3. 음운
13.3.1. 된소리
13.3.2. 모음 ''ㆍ''의 소실
13.3.3.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제14강 근대국어(2)
14.1. 문법
14.1.1. 조어법
14.1.2. 곡용
14.1.3. 특수조사
14.1.4. 활용
14.1.5. 첨사
14.1.6. 문장 구조
14.2. 어휘
14.2.1. 고유어와 한자어
14.2.2. 중국어 차용어
14.2.3. 만주어 차용어

제15강 현대국어
15.1. 문자 체계와 맞춤법
15.1.1. 국한문체와 국문체의 갈등
15.1.2. 한글맞춤법통일안
15.1.3. 표준어
15.2. 음운
15.2.1. 자음 체계
15.2.2. 모음 체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