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최남선·근대시가·네이션의 상상력
제1장 철도창가와 문명의 향방-《경부텰도노래》와 《만한철도창가》의 경우
1. 창가가 철도를 노래한 사연
2. 철도여행과 국가의식의 결속
3. 철도창가의 역사 기억과 현실 재현의 문제
4. 이미지의 선택과 배치, 그리고 계몽의 효과
5. 철도창가에 대한 기억과 향유의 전망

보론1 조선 철도창가의 기억과 향유를 위하여-6편의 철도창가 소개와 개관
1. 조선 철도창가의 역사와 현재
2. 경향(京鄕)의 기적 소리-‘조선’의 횡단과 종단
3. 철도 여행의 양가성-‘조선적인 것’의 빛과 그림자
4. 일제 조선철도의 자랑이 뜻하는 것-결어를 대신하여

보론2 일제 창가와 군가에 표상된 만주 제패의 의미-러일전쟁을 중심으로
1. 러일전쟁기 일본 창가와 군가의 문제성
2. 승전과 미개의 땅 만주, 투어리즘과 계몽의 책략
3. 전쟁의 만주와 군가의 일본, 그 총력전의 정체
4. 만주의 부상, 만주의 실종-결론을 대신하여

제2장 근대계몽기 ‘한양-경성’의 이중 표상과 시적 번역
1. ‘한양-경성’, 식민지 근대의 표상 공간
2. ‘한양-경성’, 문명에 병들다-《대한매일신보》의 경우
3. ‘한양-경성’, 문명의 기차에 올라타다-최남선 시(가)의 경우
4. 한일합방 후 ‘경성’ 체험의 분화와 내면화 경로

제3장 제국·문명·투어리즘-최남선의 「세계일주가」(1914)를 읽는 한 방법
1. 투어리즘의 근대성 또는 양면성
2. 최남선의 장편창가와 네이션의 상상력
3. 최남선의 「세계일주가」와 이케베 요시다카의 《세계일주창가》
4. 「세계일주가」의 투어리즘과 근대 문명의 전유

제4장 도래하는 ‘대조선’, 귀환하는 ‘영지(靈地)’-최남선 《조선유람가》의 문화정치학
1. 장편창가 《조선유람가》의 문제성
2. 「조선유람가」의 탄생과 확장, 그 차이화의 의미
3. 조선 ‘유람’, 숭고 대 폭력 관전기(觀戰記)
4. 「조선유람별곡」을 덧붙인 까닭-결어를 대신하여

제5장 노래하는 민족, 읽는 서정-최남선과 이병기의 시조론 재고(再考)
1. ‘조선주의’의 미학 ‘시조’, 계몽성과 심미성의 사이
2. 시조의 기원점 또는 시조의 반면체로서 ‘민요’
3. 정형률(整形律)의 근대성과 그 파장-결어를 대신하여

제2부 청년 최남선 시대의 근대 매체와 문학적 글쓰기
제1장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과 근대어 형성-계몽가사(歌辭)를 중심으로
1. 근대계몽기 ‘글쓰기’의 상황과 조건
2. 《대한매일신보》의 언어이념과 의식
3. 계몽가사 쓰기-창조와 번역 또는 경합과 연대
4. 《대한매일신보》 파국의 어떤 의미

제2장 근대매체의 탄생과 시 언어의 분화-《대한매일신보》 독자투고시의 경우
1. 대중매체와 독자투고시의 탄생
2. 《대한매일신보》 독자투고시의 현황과 특질
3. 관습의 반복과 갱신의 사이-국한문 투고시
4. 투명한 언어의 안과 밖-국문 투고시
5. 독자투고시의 위계화 현상, 그 이해의 실마리

제3장 ‘신대한’과 ‘대조선’의 사이(1)-《소년》지 시(가)의 근대성
1. 《소년》지 시(가)의 근대성을 읽는 하나의 방식
2. ‘신대한 소년’과 ‘조선 남아’ 되기-그 사행(思行)의 덕목
3. 민족 보편성에 과잉 투자된 《소년》 발 덕목들의 운명

제4장 ‘신대한’과 ‘대조선’의 사이(2)-《소년》지 시(가)의 근대성
1. 《소년》의 시(가)를 다시 읽다
2. 국민국가 ‘신대한’의 욕망과 ‘소년’의 호출
3. 서사시적 과거 ‘대조선’의 현재화와 미래화
4. 《소년》지 시(가)를 덮으며

제5장 1910년대 번역·번안 서사물과 국민국가의 상상력-《소년》과 《청춘》을 중심으로
1. 《소년》과 《청춘》을 다시 읽는다는 것
2. ‘소년’과 ‘신대한’, ‘우리들’ 혹은 ‘국민’이라는 감각
3. 번역이 창출하는 ‘우리들’(1)-‘용소년(勇少年)’들의 바다와 국가
4. 번역이 창출하는 ‘우리들’(2)-자기와 국민 구원술로서의 ‘노동역작’
5. 번역과 내면화의 길-결론을 대신하여

제6장 유학생 문예잡지에서 비평 담론의 형성과 분화-《창조》를 중심으로
1. 근대 문학비평의 성립과 분화를 바라보는 관점
2. 《창조》 비평의 기원과 전개의 저변
3. 《창조》 비평의 성격과 근대성의 문제
4. ‘비평’의 학습과 내면화의 길

초출일람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