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1. <檀君神話> 새롭게 읽기
2. 죽음과 재생의 노래-<公無渡河歌>
3. 上代詩歌의 의미 및 기능
4. 古典 詩歌에 나타난 山 崇拜 思想
5. <삼국유사>의 편찬의도 및 전략
6. <삼국유사>의 언술방식
7. 여음을 통한 고려가요의 의미 연구- ‘다로러 다리’류를 중심으로 -
8. 조선조 서민 여성 작가의 세계관과 문학적특성 및 가치 - 김삼의당을 중심으로 -
2부
1. <譯註 海觀自集>에 나타난 제의 양상 및 특징
2. <譯註 海觀自集>에 나타난 춘천의 세시풍속
3. 민족정서의 지속과 변이 양상- ‘진달래꽃’소재 재일동포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
4. 江 民俗에 나타난 女性
5. <해녀 노 젓는 소리>의 通時的.共時的 考察-서부 경남 지역의 본토 출가 해녀를 중심으로 -
6. 남한강의 특징 및 민속
7. 광공업 생산민속 신앙의 現況과 實際- 시멘트 민속과 석탄 민속을 중심으로 -
8. 양구 인물설화의 의미 및 기능- 박장사 설화를 중심으로 -
9. 생업형 地名의 고장 화천
10. 산간지역 주민의 의식구조적 특성- 홍천군 산간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