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역법과 월령
1. 세시와 역법의 인지체계
1) 세시기와 역서 / 2) 시헌력의 등장과 그에 따라 변화 / 3) 24절기와 명절
2. 월령의 기원과 기후월령
1) 월령의 기원 / 2) 기후월령 / 3) 이규경의 기후월령에 관한 변증설

Ⅱ. 농사와 세시
1. 농가월령과 절기
2. 농업세시의 시대별 차이
1) 15세기 세시풍속의 특징 / 2) 16세기 세시풍속의 특징 / 3) 임진왜란 전후에 나타난 세시풍속의 특징 / 4) 인조반정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시기의 세시풍속의 특징 / 5) 조선후기 세시풍속의 특징
3. 농업세시의 지역적 다양성
1) 일제강점기 후반 농사와 관련한 세시놀이의 전국분포 / 2) 해방 이후 농사와 관련한 세시놀이의 전국분포

Ⅲ. 세시와 의례
1. 궁중 절서
2. 사전 의례
3. 천신 의례
4. 지방의 세시의례
1) 한성의 세시의례 / 2) 군현의 세시의례

Ⅳ. 세시와 민속
1. 세시와 의식주
1) 정월 / 2) 봄 / 3) 여름 / 4) 가을 / 5) 겨울
2. 세시와 놀이
1) 거북놀이 / 2) 줄다리기 / 3) 그 밖의 세시놀이
3. 신앙과 세시의례
1) 도교적 세시의례 / 2) 불교 의례 / 3) 점풍, 제액, 주술, 금기
4. 세시관련 속담과 설화
1) 세시 속담 / 2) 손돌 설화의 전국적인 확산과 변형 / 3) 손돌목의 유래

Ⅴ. 농업세시의 변화와 지속
1. 변화와 지속의 모습들
1) 세시의 중심이 된 머슴 / 2) 머슴 들이기 / 3) 음력 2월 초하루 머슴날 / 4) 음력 3, 4월 머슴날 / 5) 음력 5월 머슴날 / 6) 음력 6월 머슴날 / 7) 음력 7월 머슴날 / 8) 음력 8월 이후 머슴날
2. 지역별 사례
1) 충청북도 / 2) 충청남도 / 3) 경상북도 / 4) 경상남도

부록
1. 세시기 및 세시관련 자료 목록과 해제
2. 3대 세시기의 서지사항
3. 율곡 이이의 절서책 원문
4. 허균의 궁중 절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