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들어가기
1.1. 연구의 틀과 범위
1.2. 한국어의 언어학적, 문법적 연구
1.3. 이 책의 구성
1.4.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
제2장 담화 문법에 대한 철학적, 언어학적 고려
2.1. 들어가기
2.2. 전체와 부분에 대한 철학자들의 사고
2.2.1. Polanyi: 부분들로는 전체를 명확하게 기술할 수 없다
2.2.2. Cassirer: 해석학적 분석의 우선성
2.2.3. Gardamer: 언어의 특질
2.2.4. Hirsch: 담화의 영역(universe of discourse)
2.3. 언어에서 전체로서의 담화 구조
2.3.1. 음운론적 증거
2.3.2. 의미론적 증거
2.3.3. 통사적 또는 문법적 증거
2.3.4. 화용적 증거
2.3.5. 그 외 고려사항
2.4. 끝맺는 말
제3장 한국 설화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피크와 프로필
3.1. 들어가기
3.1.1. 통합적인 구조
3.1.2. 설화의 부분 부분들에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
3.1.3. 통합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프로필(profile)
3.1.4. 문단 분석
3.2. 한국 설화의 통합적인 구조
3.2.1. 선택된 설화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3.2.2. 「효녀 심청」의 구조
3.2.3. 「미녀와 스님」의 구조
3.2.4. 「은혜 갚은 까치」의 구조
3.2.5. 「은혜 모르는 호랑이」의 구조
3.2.6.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구조
3.2.7. 「모자장수」의 구조
3.2.8. 「물매미」의 구조
3.2.9. 「이런 음악회」의 구조
3.3. 끝맺는 말
3.3.1. 이야기들 사이의 구조적인 차이점
3.3.2. 피크 부분을 나타내는 특징들
3.3.3. 프로필의 비교
제4장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
4.1. 들어가기
4.2. 한국어 동사의 표층자질과 개념/심층자질의 기능
4.2.1. 시제
4.2.2. 시상
4.2.3. 서법/양태
4.2.4. 태 타동성
4.2.5. 격 프레임(case frame)에 따른 동사 유형
4.2.6. 문장 내의 절 배합 구조
4.3.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
4.3.1.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을 연속체로 나타내기
4.3.2. 정보의 상대적 중요성을 여러 순위로 나타내기
4.3.3. 설화의 간략한 분석: 「미녀와 스님」
4.4. 끝맺는 말
제5장 참여자 지시
5.1. 들어가기
5.2. 명사구에 의한 명백한 언급
5.2.1. 처음 등장 소개
5.2.2. 문단의 주제 등장인물
5.2.3. 역할 변화
5.2.4. 비사건 후 사건의 재개
5.2.5. 문단 경계
5.2.6. 시간 표현
5.2.7. 인용 형식
5.3. 등장인물 언급에서 명사구의 형태
5.4. 등장인물 언급에서 조사의 선택
5.4.1. 보완 정보를 위한 주격조사 ‘가’의 사용
5.4.2. 주로 주 정보를 위한 주제조사 ‘는’의 사용
5.4.3. 주격조사와 주제조사의 비교
5.5. 끝맺는 말
끝맺는 말
부록
1. 효녀 심청
2. 미녀와 스님
3. 은혜 갚은 까치
4. 은혜 모르는 호랑이
5. 해와 달이 된 오누이
6. 모자장수
7. 물매미(계용묵 1950)
8. 이런 음악회(김유정 1936)
참고문헌
찾아보기(한-영)
찾아보기(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