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역자 서문 = 5
서문 = 8
서장 : 지역사료의 검색과 활용을 생각한다 = 15
1. 제5차 전문연구위원회와 그 활동 = 15
1) 기사협의 활동과 경과 = 15
2) 연구 주제의 설정과 논의 경과 = 18
3) 지역문서관과 지역사료 = 22
2. ''검색과 활용''의 현실과 과제 = 26
1) 검색과 활용의 이미지 = 26
2) 설문조사의 집계 방침 = 27
3) 본서의 과제 = 28
제1장 검색과 활용의 환경 조건 = 31
1. 사료 정리의 이상적 상태 = 31
1) 검색과 활용을 위한 정리 = 31
2) 사료 정리의 실제 = 33
2. 기초 데이터의 작성과 지역사료의 검색 = 43
1) 기초 데이터의 작성과 관리의 원칙 = 43
2) 제가ㆍ제 단체문서의 검색 = 48
3) 행정문서의 검색 = 55
4) 지역문헌의 검색 = 64
5) 지역정보의 검색 = 69
3. 검색 환경의 정비 = 76
1) 지역사료와 기초 데이터의 수납 = 77
2) 검색 방법의 평준화 = 79
제2장 지역사료 활용의 실제 = 83
1. 편찬사업과 지역사료의 활용 = 83
1) 편찬사업에서 지역문서관으로 = 83
2) 편찬 사무국과 문서 주관과 = 84
3) 편찬 조직의 체제와 업무 = 85
4) 편찬사업 종료 후의 활용을 위한 사료 수집 = 87
5) 편찬사업 종료 후의 활용을 위한 사료 정리 = 89
6) 편찬사업 종료 후의 활용을 위한 사료 보존 = 90
7) 사료의 광범위한 활용 = 91
2. 이용ㆍ활용 방법 = 92
1) 열람 = 92
2) 촬영 복사 = 9
3) 지역사료 전시의 제 문제 = 99
4) 여러 가지 계몽 활동 = 103
5) 이용ㆍ활용의 제한 = 106
6) 사료의 이용과 저작권 = 114
3. 지역사료의 대체화와 활용 = 121
1) 대체화의 의의 = 121
2) 대체화의 실제 = 123
3) 지역사료 대체화의 전망 = 134
4. 조례ㆍ규칙의 정리와 그 필요성 = 135
1) 이용에 관한 조례ㆍ규칙 = 135
2) 사료 이용에 관한 요강ㆍ요령 = 139
제3장 지역사료의 정보 시스템화를 향하여 = 145
1. 정보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 145
1) 사료 검색과 활용에서 컴퓨터의 이용 = 145
2) 정보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 147
3) 사료 보존활용기관의 정보 시스템 = 150
2. 컴퓨터는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 154
1) 목록 작성 = 155
2) 데이터베이스의 정비 = 162
3)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료 정보의 공개와 교환 = 170
3. 정보 시스템화에 즈음하여 = 172
1) 정보 시스템화의 유의점 = 172
2) 사무가와 정 기획부 정사 편찬과의 사례 = 178
3) 아마가사키 시립지역연구사료관의 사례 = 187
참고자료 1 사료 보존활용기관의 사료 DB 작성 현황 = 197
참고자료 2 ''지역사료의 검색과 활용''에 관한 설문조사 집계 결과 = 201
참고문헌 = 216
편집 후기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