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머리말 / v

01 서론

02 영어 수문의 섬과 재생 전략
2.1 들머리
2.2 선행연구
2.2.1 생략에 의존한 구제
2.2.2 재생
2.3 제안
2.3.1 재생이 가능한 환경
2.3.1.1 담화연결
2.3.1.2 분열
2.3.2 섬제약 위반의 효과
2.3.2.1 새싹수문
2.3.2.2 대조수문
2.4 맺음말

03 Wh-the hell을 포함하는 새싹도치수문
3.1 들머리
3.2 Wh-the hell의 특성
3.3 Sprouse(2006)의 선행연구
3.4 제안
3.5 맺음말

04 한국어의 수문과 관용어 해석
4.1 들머리
4.2 수문과 외현적 Wh-이동
4.3 제안
4.3.1 수문과 초점이동
4.3.2 두 종류의 수문
4.3.3 다중수문
4.4 수문과 관용어 해석
4.5 맺음말

05 한국어의 수문과 분열문의 비교
5.1 들머리
5.2 내포절 수문: 병합수문, 대조수문, 새싹수문, 유사수문
5.2.1 수문의 허가조건: 일치자질, 내적 선행어
5.2.2 계사의 출현
5.2.3 격조사/후치사 탈락
5.2.4 섬제약 준수
5.2.5 다중수문
5.3 주절 수문
5.4 맺음말

06 영어 생략문에서의 최대축소 원리
6.1 들머리
6.2 최대생략
6.3 최대축소
6.4 맺음말

07 한국어 초점문에서의 생략
7.1 들머리
7.2 영어의 유사공백화
7.3 한국어의 생략과 초점
7.3.1 유사공백화: VP 생략
7.3.2 생략의 범위
7.3.2.1 NegP 생략
7.3.2.2 AgrSP 생략
7.3.2.3 TP 생략
7.3.3 생략의 경제성
7.4 한국어 유사공백화와 관용어 해석
7.5 맺음말

08 영어와 한국어의 영보어 대용화
8.1 들머리
8.2 영보어 대용화의 심층대용화적 특성
8.2.1 화용적 선행어
8.2.2 통사적 병행성
8.2.3 사라진 선행어
8.2.4 적출 가능성
8.3 영보어 대용화의 표층대용화적 특성
8.4 이완지시 해석과 결속변항 대용화
8.4.1 어휘요건 검사
8.4.2 국부적 이접성 검사
8.5 한국어의 영보어 대용화
8.6 맺음말

09 Why-최소공백화와 섬제약 효과
9.1 들머리
9.2 Why-최소공백화의 특성
9.3 선행연구: 초점이동 + TP 삭제 분석
9.4 제안: 화제이동 + TP 삭제 분석
9.5 맺음말

10 Why-최소공백화와 ‘왜’-최소공백화
10.1 들머리
10.2 선행연구
10.2.1 Yoshida et al.(2015)의 TP 삭제 분석
10.2.2 Weir(2014)의 VoiceP 삭제 분석
10.3 제안: 화제이동과 TP 삭제
10.4 ‘왜’-최소공백화
10.4.1 특성
10.4.2 관용어 해석
10.4.3 수문과 Why-최소공백화의 비교
10.5 맺음말

11 영어와 한국어의 우절점공유
11.1 들머리
11.2 영어의 우절점공유
11.2.1 우절점인상 분석
11.2.2 다중관할 분석
11.2.3 후행삭제 분석
11.3 한국어의 우절점공유
11.3.1 우절점인상 분석
11.3.2 논리형태 복사 분석
11.3.3 음성형태 삭제 분석
11.3.4 음성열 삭제 분석
11.3.5 다중관할 분석
11.3.6 의존생략 분석
11.4 제안
11.4.1 섬제약 효과
11.4.2 경칭형태소의 일치
11.4.3 복수의존 형태소의 허가
11.4.4 후치사/격조사 탈락
11.4.5 동음이의어
11.5 맺음말

12 한국어의 좌절점 공유
12.1 들머리
12.2 선행연구
12.2.1 전역어순재배치 분석
12.2.2 선형화 + 접속축소 분석
12.2.3 다중관할 분석
12.3 제안
12.4 맺음말

13 한국어의 우전위
13.1 들머리
13.2 선행연구
13.2.1 단일절 이동 분석
13.2.2 단일절 기저생성 분석
13.2.3 이중절 기저생성 분석
13.2.4 이중절 이동 분석
13.2.4.1 좌측 어순재배치 + 삭제 분석
13.2.4.2 조각문 분석
13.2.5 단일절 혼합 분석
13.3 제안
13.3.1 비대칭성
13.3.2 섬제약 효과
13.3.3 공백, 복사, 재생대명사
13.3.4 동일절/동일명사구 생성조건
13.3.5 격표지 탈락
13.3.6 Wh-의문문 해석
13.3.7 기타 특성
13.4 맺음말

14 한국어 어순재배치의 섬제약 효과: 실험통사론적 접근
14.1 들머리
14.2 선행연구
14.3 실험설계
14.3.1 자극
14.3.2 방법과 장치
14.3.3 제시
14.3.4 참가자
14.4 결과
14.5 논의
14.5.1 한국어 복합명사구제약의 본질
14.5.2 한국어 장거리 어순재배치의 본질
14.6 맺음말

■ 참고문헌
■ 영한 용어 대조표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