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남북한의 단어형성법 / 김정은
1. 머리말 1
2. 단어형성법의 유형 2
3. 파생법 5
3.1. 덧붙임법 6
3.2. 바꿈법 6
3.3. 되풀이법 7
3.4. 줄임법 8
3.5. 분립법 9
3.6. 정리 10
4. 합침법 11
4.1. 단순합침법 12
4.2. 확대합침법 13
4.3. 지정합침법 13
4.4. 복합합침법 13
4.5. 정리 15
5. 배합법 16
5.1. 둘 배합법 16
5.1.1. 덧붙임 - 합침법 17
5.1.2. 덧붙임 - 되풀이법 19
5.1.3. 덧붙임 - 소리바꿈법 20
5.1.4. 합침 - 소리바꿈법 21
5.1.5. 되풀이 - 소리바꿈법 22
5.1.6. 되풀이 - 합침법 23
5.1.7. 되풀이 - 줄임법 24
5.1.8. 합침 - 줄임법 25
5.1.9. 소리바꿈 - 줄임법 26
5.1.10. 덧붙임 - 줄임법 27
5.1.11. 분립 - 합침법 28
5.1.12. 분립 - 덧붙임법 29
5.1.13. 정리 29
5.2. 셋 배합법 30
5.2.1. 덧붙임 - 합침 - 소리바꿈법 31
5.2.2. 덧붙임 - 되풀이 - 소리바꿈법 31
5.2.3. 합침 - 줄임 - 소리바꿈법 32
5.2.4. 되풀이 - 합침 - 덧붙임법 33
5.2.5. 덧붙임 - 합침 - 줄임법 34
5.2.6. 분립 - 덧붙임 - 소리바꿈법 34
5.2.7. 정리 35
6. 맺음말 36

남북한 외래어의 표기와 사용 실태 / 金希珍
1. 머리말 41
2. 외래어의 표기와 어형 46
2.1. 외래어 표기법의 차이 46
2.1.1. 외래어 표기법의 체재 46
2.1.2. 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 49
2.1.3. 외래어 표기 일람표 57
2.1.4. 외래어 표기 세칙과 용례 60
2.2. 그 밖의 표기 차이 67
2.2.1. 모음·자음 차이가 있는 예 67
2.2.2. 음이 첨가되거나 탈락된 예 74
2.2.3. 어형의 길이가 다른 예 75
2.2.4. 代置한 예 75
3. 외래어의 사용 실태 79
3.1. 외래어에 대한 인식 性向 79
3.2. 외래어의 感化的 受容 82
3.2.1. 의미 가치를 높인 예 83
3.2.2. 의미 가치를 낮춘 예 91
3.3. 외래어의 사용 性向 96
3.3.1. 남한 국어 교과서의 외래어 96
3.3.2. 북한 국어 교과서의 외래어 100
3.3.3. 남북한 교과서의 高頻度 외래어의 비교 103
3.3.4. 남북한 신문·잡지의 고빈도 외래어의 비교 104
4. 맺음말 108

북한의 문체 / 김영자
1. 머리말 115
2. 북한의 문체론 개관 116
2.1. 북한 문화어 문체의 개념 116
2.2. 북한 문화어 문체의 분류 117
2.3. 문화어 문체의 구성요소 118
2.4. 어휘 문체론적 기법 121
2.4.1. 비유법 121
2.4.2. 과장법 130
2.4.3. 에두름법 131
2.4.4. 상징법 133
2.4.5. 꾸밈법 135
2.4.6. 성구속담의 이용 방법 136
2.5. 문장 문체론적 기법 137
2.5.1. 되풀이법 137
2.5.2. 대구법과 대조법 140
2.5.3. 생략과 침묵, 수사학적 물음과 감탄의 기법 141
2.5.4. 보임법과 담화법 143
2.6. 논리 문체론적 기법 145
3. 북한 문체의 특성 147
3.1. 문학작품의 경우 147
3.2. 신문 사설과 보고문의 경우 152
4. 맺음말 155

남북한의 언어 예절 / 李玉連
1. 머리말 159
2. 남북한의 언어 예절 162
2.1. ''우리말의 예절''의 발간 취지 163
2.2. ''조선말례절법''의 발간 취지 165
2.3. ''우리말의 예절''과 ''조선말례절법''의 구성 170
2.3.1. ''우리말의 예절''의 구성 170
2.3.2. ''조선말례절법''의 구성 174
2.4. ''우리말의 예절''과 ''조선말례절법''의 언어 예절 176
2.4.1. ''우리말의 예절''에 나타난 남한의 언어 예절 176
2.4.2. ''조선말례절법''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 예절 190
3. 맺음말 210

찾아보기 219
가. 한글 자모순 221
1) 술어 221
2) 용례 228
나. 로마자 알파벳순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