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1930년대 시의 기호와 담론체계

1930년대 시의 담론체계 연구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사 검토
3. 시적 담론과 기호학

제2장 1930년대 시의 서정과 담론 조건
1. 서정시 양식의 두 경향
2. 지용시와 영랑시의 담론 조건

제3장 담론체계 분석의 실제
1. 지용시의 담론체계 분석
2. 영랑시의 담론체계 분석
3. 분석의 결과

제4장 담론체계의 변이와 그 해석
1. 상호텍스트성과 체계의 변이
2. 주제적 불변소와 의미의 해석
3. 담론 특성의 시사적 의의

제5장 결론

제2부 서정성의 변용과 담론

박용철 시론의 변용적 의미
Ⅰ. 머리말

Ⅱ. 심미적 문학관의 형성배경
1. 동양미학적 요소
2. 서구의 심미주의 문학론 수용

Ⅲ. 순수시론의 변용적 의미
1. ''先詩的 體驗''과 변용의 시론
2. ''辯說以上''의 반이성·반기교주의

Ⅳ. 맺음말

모더니즘 시론의 수용과 시적 변용
Ⅰ. 머리말

Ⅱ. 주지주의 수용과 변용
1. 김기림·최재서의 주지주의 수용
2. 정지용·김광균의 시적 변용

Ⅲ. 초현실주의 수용과 변용

Ⅳ. 맺음말

타자(他者)의 자화상-서정주 시의 담론적 의미
Ⅰ. 서정주 시, 왜 타자(他者)의 문제인가?

Ⅱ. 원죄의식과 소외구조

Ⅲ. 설화 모티브-''주체/타자''의 매개항

Ⅳ. 리리시즘 속의 에포스

열린 언술체계와 사랑의 뮤즈-1960년대 시조시의 서정과 담론
Ⅰ. 현대시조의 상호텍스트성

Ⅱ. 시조의 형식 문제와 언술체계

Ⅲ. 체험의 형상화와 서정적 뮤즈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