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 4
책을 읽기 전에 : 민족사학 덕성 100년을 말한다 = 14
1부 3ㆍ1운동과 조선여자교육회의 탄생
들어가며 : 민국 100년, 덕성 100년을 맞아 여성 독립운동을 다시 생각한다 = 24
1. 한국 근대 여성해방운동이 지향한 것은 = 33
2. 조선여자교육회와 여성교육운동 = 39
특집 : 전국의 가정부인들을 찾아서 = 47
3. 1920년대 여성 담론과 차미리사의 여성교육론 = 49
특집 : 신여성의 등장 = 62
4. 조선여자교육회의 여성 회원들 = 64
2부 야학강습소에서 근화여학교로
들어가며 : 정규교육기관으로 승격된 근화여학교 = 78
1. 근화여학교의 성장과 함께한 사람들 = 85
2. 갑신정변이 준 선물, 안국동 근화여학교 터 = 102
3. 근화여학교를 다닌 학생들은 누구? = 116
4. 조선 최초의 여자 사진과 = 126
5. 근화여학교 교훈에 담긴 의미 = 139
특집 : 근화의 교표와 교가 = 146
6. 엄마는 근화여학교로, 아이는 근화유치원으로 = 149
7. 계몽운동의 수단이 된 차미리사의 음악사상 = 161
8. 근화연극제와 연극활동 = 168
9. 근화가 지은 옷, 근화가 수놓은 미래 = 180
특집 : 전조선 여학교 연합 ''빠사'' 대회 = 186
10. 광주학생운동과 근화의 학생들 = 189
3부 실업교육기관으로 성장한 근화, 덕성여자실업학교
들어가며 : 실업학교로 새롭게 출발한 덕성여자실업학교 = 202
1. 여자실업학교의 현황과 근화의 실업교육 정신 = 207
특집 : 1930년대 언론에 비친 근화 = 217
2. 근화 학생들이 공부했던 교과서 = 219
특집 : 푸른 제복의 학생들, 근화에서 덕성까지 교복의 변천 = 227
3. 졸업 후의 진로는 = 229
4. 문자보급운동에 참여한 근화여자실업학교 학생들 = 236
특집 : 일제강점기 학생운동과 근화, 3ㆍ1운동에서 농촌계몽운동까지 = 245
5. 태평양전쟁과 덕성여자실업학교의 소개(疏開) = 247
특집 : 인터뷰를 통해 본 전시체제기의 학교생활 = 255
6. 군국의 어머니, 반도 여성의 책무를 외친 여성교육자들 = 257
특집 : 전시체제기의 입학시험 문제 = 268
4부 해방 이후의 덕성학원
들어가며 : 차미리사의 활동과 그녀에 대한 기억 = 272
1. 해방 이후 차미리사의 정치ㆍ사회 활동 = 276
특집 : 남북협상을 지지하는 108인의 성명서 = 283
2. ''도깨비집'' 운현궁 양관에서 시작된 덕성여자대학교의 첫걸음 = 285
3. 차미리사가 사후 반세기 만에 독립유공자가 된 까닭은 = 293
특집 : 덕성의 기념일 = 299
4. 한국사 교과서 속의 차미리사와 조선여자교육회 = 301
이 책에 참여한 필자들 = 310
참고문헌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