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머리에

1장 담화표지 ‘좀’의 의미 기능
1. 문제의 제기
2. ‘좀’의 문법화와 의미 기능
2.1. ‘좀’의 담화표지적 기능
2.2. 기왕의 연구 및 문제점
2.3. ‘좀’의 문법화와 기본적 의미
2.4. 각 서법에서의 ‘좀’의 의미 기능
2.5. ‘좀’의 초점적 기능
2.6. ‘좀’이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
2.7. ‘좀’ 구문의 통사 현상
3. 결론

2장 ‘뭐’의 문법화와 담화 기능
1. 문제의 제기
2. 담화표지 ‘뭐’의 특징과 문법화
2.1. 담화표지 ‘뭐’
2.2. 담화표지 ‘뭐’ 구문의 특징
2.3. 담화표지 ‘뭐’의 문법화
3. ‘뭐’의 담화적 기능
3.1. 이해불가한 상황에 대한 의문 태도 표출
3.2. 머뭇거림 표시
3.3. 발화 내용의 불확실성 표시
3.4. 불쾌감 표출
3.5. 반어적 해석 기능
3.6. 평가절하의 태도 표출
3.7. 화자의 처지나 상황에 대해 불만표시
3.8. 상대의 제안/요구에 대한 부정적 태도 표출
3.9. 주어의 행위에 대한 비판적 태도 표출
3.10. 무관심이나 비관여적 태도 표출
3.11. 초점화 기능
3.12. 발화 내용 강조
3.13. 문제에 대한 안일한 인식 태도 표출
3.14. 상대에 대한 도전적 태도 표출
3.15. 발화 내용에 대한 비단정적 태도 표출
3.16. 이의 제기적인 심리 태도 표출
3.17. 부정의 기능
3.18. 발어사로서 막연한 심리 태도 표출과 부차적 기능
3. 결론

3장 담화표지 ‘어디’의 형성과 담화적 기능
1. 문제의 제기
2. 담화표지 ‘어디’의 형성과 담화적 기능
2.1. 담화표지 ‘어디’의 사용과 기능
2.2. ‘어디’의 담화적 기능
2.3. 담화표지 ‘어디’의 기본 의미와 담화 기능
3. 결론

4장 ‘왜’의 담화적 기능
1. 서론
2. 담화표지 ‘왜’의 형성 및 담화적 기능
2.1. ‘왜’의 세 가지 용법과 담화표지 ‘왜’의 형성
2.2. 담화표지 ‘왜’의 형성
2.3. ‘왜’의 담화적 기능
3. 결론

5장 간투사 ‘아니’의 의미 기능
1. 문제의 제기
2. 간투사 ‘아니’의 의미 기능
2.1. 부정소와 부정 응답 ‘아니’의 의미 기능
2.2. 부정 응답 ‘아니’의 부정 원리
2.3. 간투사 ‘아니’의 의미 기능 및 담화적 기능
3. 결론

6장 ‘다’의 담화표지적 기능과 통사적 특징 및 문법화
1. 서론
2. 담화표지 ‘다’의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징 및 문법화
2.1. ‘다’의 담화표지적 기능
2.2. ‘다’의 의미 기능
2.3. ‘다’ 구문의 통사 현상
2.4. ‘다’의 문법화
3. 결론

7장 ‘참’의 감탄사와 담화표지 의미 기능
1. 문제의 제기
2. ‘참’의 문법 범주와 의미적 관련성
3. 두 가지 감탄사 ‘참’과 그 의미
3.1. 감정/느낌 표현의 감탄사 ‘참(참1)’
3.2. 지각 작용 표출의 감탄사 ‘참(참2)’
4. 담화표지 ‘참’의 의미 기능
4.1. 느낌/감정 표현의 담화표지 ‘참(참3)’
4.2. ‘참3’의 담화표지적 기능
4.3. 감탄사 ‘참2’ 기원의 담화표지 ‘참(참4)’의 담화적 기능
5. 결론

8장 간투사 ‘응/아니’와 부정의문문에 대한 응답 방식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1.3. 조사 대상 및 조사 내용
1.4. 질문지 문항 내용
1.5. 조사결과 분석 방법
2. 결과 분석
3. 결론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