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1장 국어 부정극어의 유형
1. 서론
2. 부정극어의 분류
2.1. 부정 문맥의 개념
2.2. 부정극어의 분류
3. 국어 부정극어의 특성
3.1. 부정극어의 변이형
3.2. 부정극성의 차이
3.3. 서술어 제약
3.4. 부정극어의 중출과 제약
3.5. 제한적 용법의 부정극어어
4. 결론

2장 ‘-뿐이’의 형태와 통사에 대하여
1. 문제의 제기
2. ‘-뿐이’의 형태 구조
2.1. 방언에서 '-뿐이'의 극어적 속성 및 이 구문의 특성
2.2. '-뿐이'의 형태론
3. ‘-뿐이’ 구문의 통사적 해석
3.1. 'NP+뿐이'의 주어/목적어(논항) 여부
3.2. 'NP+뿐이'의 극어 영부의 문제
3.3. '-뿐이/밖에'가 명령 · 청유에서 제약되는 이유
4. 결론

3장 화용론적 가정과 부정극어
1. 문제의 제기
2. 국어 부정극어와 화용론
2.1. 부정극어의 함의
2.2. 국어 부정극어의 유형
2.3. 화용상 최저점 표현과 가정
2.4. 화용적 부정극어의 형성 원리
2.5. 문자적 해석과 부정긍어의 조건
3. 결론

4장 ‘아무’의 지시적 성격과 출현 형태 및 의미적 해석
1. 문제의 제기
2. ‘아무’의 형태적 특징 및 지시적 성격과 총칭성/특칭성
2.1. ‘아무도’의 조사 결합 제약과 범주적 성격
2.2. ‘아무’의 지시 관련 속성
2.3. ‘아무도’, '아무나' 형의 성랍과 의미 기능
2.4. '아무나', '아무도'의 총칭성/특칭성과 서술어 제약
3. 결론

5장 국어의 부정극어 허가자와 허가 양상
1. 서론
2. 부정극어 허가자 논의를 위한 이론적 기초
2.1. Klima(1964) 비한정사 - 통합
2.2. Ladsaw(1979) 하향 햠의 이론
2.3. Zwarts(1993)의 단조성 이론
2.4. 단조성 이론의 한계
2.5. 부정극어 허가와 (비)진언성 이론
3. 부정극어 허가자의 함수적 특징과 허가 양상
3.1. '-기 싫(어하)다'
3.2. '-기 어렵다'
3.3. '-기 힘들다'
3.4. '-기 전에'
3.5. '-면'
3.6. '-기 거절하다'
3.7. 성분 부정어
3.8. 비교의 '-느니'와 '-기보다'
3.9. 수사의문문
4. 결론

6장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통사 구조의 해석
1. 문제의 제기
2.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국어의 부정 방식
2.1.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동일절 조건
2.2. 장형 부정문과 동일절 조건
2.3.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의 차이
3.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
3.1. 장형 부정의 접속문과 부정극어 허가 영역
3.2. 명사절 내포 구성과 부정극어 허가 영역
3.3. 장령 사동문 및 동사구 내포문과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
3.4. 보조동사 구문과 부정의 영역
3.5. 부정 상승 구문과 부정극어 허가 영역
3.6. 계사 구문의 부정과 부정극어 허가 영역
3.7. 비명시적 부정극어 허가자의 허가 영역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