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01 기저형
1.1. 기저형이란 무엇인가?
1.2. 기저형과 관련된 문제
1.2.1. 추상성 논쟁
1.2.2. 기저형 설정의 조건
1.2.3. 단일 기저형과 복수 기저형

02 기저형의 형태와 교체의 해석
2.1. 교체란 무엇인가
2.1.1. 교체의 정의와 공시성?통시성
2.1.2. 교체의 유형
2.2. 기저형의 형태와 교체

03 어휘부와 어휘부 저장 정보
3.1. 어휘부
3.1.1. 심리 어휘부
3.1.2. 단순 어휘 저장소 또는 단어 형성부를 포함한 어휘 저장소
3.1.3. 어휘부의 구조
3.2. 어휘부 등재 항목
3.2.1. 이론적 흐름
3.2.2. 국어 형태론에서의 논쟁
3.3. 단어 형성의 두 방식과 어휘부 등재 기준
3.3.1. 단어 형성과 어휘부 등재 기준
3.3.2. 규칙론과 유추론 논쟁
3.4. 개별 어휘 항목에 저장되는 정보
3.4.1. 어휘부에 저장되는 정보들
3.4.2. 발음 정보의 저장과 음절화 유무

04 단어 내부 교체의 공시성 유무와 어휘부 저장 형태
4.1. 단일어 내부 교체의 공시성?통시성과 어휘부 저장 형태
4.1.1. 단일어 내부 교체의 공시성?통시성
4.1.2. 단일어 내부 교체와 어휘부 저장 형태
4.2. 복합어에서의 교체와 어휘부 저장 형태
4.2.1. 복합어 내부 교체의 공시성?통시성
4.2.2. 분석 능력과 교체의 공시성

05 활용형의 어휘부 등재
5.1. 복수 기저형 설명 방식의 문제
5.1.1. 암기 처리와 연산 처리의 어색한 조합
5.1.2. 실제적 사실과 기술의 불일치
5.1.3. 단순히 현상의 기술에만 그치는 한계
5.2. 활용형의 어휘부 등재
5.2.1. 활용형의 어휘부 등재에 대한 논의
5.2.2. 굴절형의 어휘부 등재를 보여주는 실제
5.2.2.1. 활용형의 어휘부 등재
5.2.2.2. 곡용형의 어휘부 등재
5.3. 불규칙적 활용형의 어휘부 등재 방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