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서문

제1장 사회‧문화 장치로서의 기독교
신규환|한중 선교병원의 ‘정체성’ 논쟁 비교연구:제중원과 시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서양식 근대병원의 역사적 기원 논쟁
3. 한중 선교병원의 기원과 성격
4. 맺음말

김성연|근대 지식의 구축과 미션스쿨의 좌표:연희전문학교 도서관 기증사를 중심으로
1. 서론
2. 식민지 시기 미션스쿨의 문서고 형성 과정
3. 책의 공유(公有)와 지식의 접합 혹은 경합
4. 결론

김인수|기독교와 사회조사:일제하 이훈구의 토지이용조사의 정치적 의미
1. 들어가며
2. 식민지 사회와 국제 기독교 네트워크
3. 식민지의 사회문제와 주도권
4. 이훈구의 ‘토지이용조사’의 배경
5. 이훈구의 ‘토지이용조사’의 실제
6. 맺으며:정리와 토론

제2장 인식‧사상 자원으로서의 기독교
정미현|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의 선교 사역과 여성의식
1. 들어가는 말
2. 릴리어스 호튼 언더우드의 파송과 결혼
3. 선교현장에서의 여성주의적 권리 주장
4. 한국여성들과의 연대와 선교 사역
5. 나가는 말

정한나|재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의 토포스와 󰡔기독청년󰡕의 기독교 담론
1. 들어가며
2. 트랜스-내셔널 토포스로서의 재동경YMCA
3. YMCA 정신과 도쿄 유학의 화학 작용
4. ‘spirit’에서 ‘덕’을 발견하다
5. ‘지상천국’의 숨은 뜻과 그 한계
6. 나오며

강동호|세속화와 한국 근대시의 형성
1. 들어가며
2. 세속화 테제의 계보
3. 근대문학의 세속화와 초월성의 위상학
4. 한국적 세속화 논의의 가능성:결론을 대신하여

제3장 이입, 접속, 습합하는 기독교
나종석|다산 정약용을 통해 본 유교와 천주교의 만남-한국적 근대성의 논리를 둘러싼 논쟁의 맥락에서-
1. 들어가는 말
2. 천주교, 다산의 상제(上帝)관 그리고 그의 경학체계의 성격
3. 인(仁)에 대한 상호주관적 해석과 ‘유교적 신학’으로서의 다산학
4. 정약용과 한국 근대성의 문제
5. 나가는 말을 대신하여:유학의 혁신적 재규정으로서의 다산학과 근대성의 문제

장석만|초기 개신교 신자의 개종(改宗)이 지닌 성격-1900~1910년을 중심으로-
1. 서론
2. 단절의 수사학
3. 지식인의 옥중 개종
4. 1907년 대부흥운동의 개종
5. 결론

이선호|기독교-불교의 융합과 그 사회적 의미:변선환의 사상을 중심으로
1. 서론
2. 한국사에서 기독교와 불교의 만남
3. 변선환의 신학과 종교다원주의 시도
4. 결론

제4장 현대 한국의 이념, 운동 혹은 기독교의 대항가치
김건우|해방 후 한국 무교회주의자들의 공동체 구상
1. 무교회주의의 성격과 계보
2. 류달영의 ‘재건국민운동본부’:국가적 기획의 가능성
3. ‘풀무’ 공동체:지역사회의 개조
4. 분기점, 그리고 영향

임진영|1950년대 한국 기독교의 전쟁 인식과 평화 담론의 가능성
1. 들어가는 말
2. 한국 기독교의 반공주의와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
3. 1950년대 후반의 사상지형도, ‘화해와 공존’의 의미
4. 1959년 󰡔기독교사상󰡕 특집의 평화 담론
5. 나가는 말

이상록|1960~1970년대 조지 오글 목사의 도시산업선교 활동과 산업 민주주의 구상
1. 머리말
2. 오글 목사의 도시산업선교 활동
3. 오글 목사의 기독교 사상과 산업 민주주의
4. 맺음말

이철호|민족 표상의 (불)가능성-7‧4 남북공동성명 이후의 생명, 씨, 민중-
1. 민족통일의 새로운 구상들:󰡔씨의 소리󰡕 좌담회의 경우
2. 함석헌의 민족통일 표상:생명, 씨, 민중
3. 민족의 요동:함석헌과 백낙청
4. 김지하의 동북아 생명 운동과 율려(律呂)
5. 민족 표상의 (불)가능성

찾아보기
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