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사의 중심이었던 한국 언론

제1부. 독립신문과 현대사

제1장. 한국의 볼테르 서재필과 독립신문
1. 개화 운동의 횃불
2. 일본의 언론 침략과 {독립신문}
3. {독립신문}에 담긴 역사의 교훈
4. 서재필의 추방과 그 이후
5. 서재필의 글에 나타난 언론 사상

제2장. 서재필과 독립신문에 관한 논쟁점들
1. 서재필­{독립신문}과 관련된 문제들
2.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3. 비판적인 시각
4. 서재필과 {독립신문}에 관한 논점들
5. 서재필을 평가하는 관점

제2부. 언론과 민족 운동

제3장. 국채 보상 운동과 언론의 역할
1. 언론사, 민족 운동사, 외교사의 총체적 연관
2. 국채 보상 운동의 전개와 언론
3. 언론의 반응
4. 일본의 탄압
5. 양기탁의 재판
6. 국채 보상 운동의 결말

제4장. 문자 보급 농촌 계몽의 민족 운동
1. 문자 보급 운동의 시대적 배경
2. {조선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3. {동아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4. 총독부의 방해로 중단

제5장. 국어 운동 통한 민족 정체성 찾기
1. 국어 운동의 주역은 언론
2. 한말 개화기의 보도 용어
3. 한자와 한글의 영토 다툼
4. 광복 후의 국어 순화 노력
5. 한글 전용 가로쓰기

제3부. 해외의 한국어 신문

제6장. 러시아 지역의 항일 망명 언론
1. 러시아, 미국, 중국 지역의 민족 언론
2. {해죠신문}
3. {대동공보}
4. 한일합방 후의 신문 발행
5. 국내와 미주를 잇는 삼각 연대

제7장. 상해판 독립신문과 임시정부의 독립 운동
1. 국내외에서 발행된 여러 {독립신문}
2. {독립신문}의 창간과 제작진
3. 모금 운동과 부대 사업(附帶事業)
4. 경영난, 일본의 탄압과 이광수의 귀국
5. 이광수 이후의 주필과 경영진
6. {독립신문}의 성격
7. 중경판(中京版) {독립신문}

제8장. 일제 시대 만주의 한국어 신문
1. 해외에서 발행된 한국어 일간지
2. 한국인의 만주 이주와 초기 신문들
3. 만주사변 이후의 {만선일보}
4. {만주일보}에서 {만선일보}까지

제4부. 사회주의와 언론

제9장. 사회주의 언론의 생성과 활동
1. 두 갈래의 계보
2. 일제 하 사회주의 언론인들
3. 사회주의 계열 잡지와 신문
4. ''주체의 혁명적 신문''
5. 광복 후 북한의 신문 잡지 출판사
6.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

제10장. 해방 공간의 좌익 언론과 언론인
1. 좌익 정치 논리의 전위(前衛) 기구
2. 남북한의 언론 상황과 좌익지의 발행
3. 해방 정국의 기선을 제압한 좌익지
4. 찬탁과 우익지를 향한 공격
5. 좌익지의 몰락
6. 공산당 불법화 이후

제5부. 언론학 교육의 두 선구자

제11장. 기자 양성의 요람 조선신문학원과 곽복산
1. 언론과 학계에 인적 자원 공급
2. 일제 하의 언론학 연구
3. 조선신문학원의 운영
4. 한국전쟁 후 서울신문학원
5. 신문학의 정착
6. 중앙대학교 신문학과에 흡수

제12장. 김규환의 언론학 육성과 산학 협동
1. 언론인, 언론학자, 국제 교류 사업가
2. 학문과 언론인 활동
3.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 원장
4. 언론학과 인접 학문의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