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동심론의 현장과 시교육
동심론에서 ‘발견/자아확장’의 구조 | 15
1. 들어가며
2. 동심(童心)의 설(說)과 론(論)
3. 이준관의 평론에 나타난 동심주의와 표현론
4. 동심론에서 ‘발견/자아확장’의 구조
5. 나오며
작가는 어떻게 동심에 이르는가? | 42
1. 들어가며
2. 동심에 대한 논점
3. 작가는 어떻게 동심에 이르는가?
4. 나오며
어린이 체험은 어떻게 형상화되는가? | 72
1. 들어가며
2. 아동문학에서 이중말하기와 초점화자
3. 임길택 동시에서 어린이 체험의 형상화 양상
4. 나오며
<개구리네 한솥밥>의 구조와 교재화 방안 연구 | 104
1. 들어가며
2. ‘백석 동화시’의 갈래적 특성
3. <개구리네 한솥밥>의 구조와 의미
4. <개구리네 한솥밥>의 교재 구성 방안
5. 나오며
시조 텍스트의 수용과 창작 지도 방법 | 135
1. 들어가며
2. 전제: 시의 요소와 정형 양식
3. 시조의 형식과 의미 전개
4. 시조 텍스트의 수용과 창작 지도 방법
5. 나오며
제2부 어린이문학에서 주제 비평
동시에 나타난 유희성과 관계성 | 167
1. 서론
2. 전제 : 어린이 생활의 유희적인 측면
3. 생활 속의 유희성과 자아 발견
4. 관계 맺기의 유희성과 자아 성장
5. 결론
동화에 제시된 죽음 모티프와 교육적 함의 | 189
1. 서론
2. 동화에 제시된 죽음 모티프
3. 생의 완성 단위로서 죽음의 기능
4. 죽음 인식의 교육적 함의
5. 결론
판타지동화에 나타난 시공간의 중층성과 교차 양상 | 219
1. 서론
2. 판타지의 제요소에 따른 장르적 양상
3. 판타지동화에 나타난 시공간의 중층성과 교차 양상
4. 결론
제3부 문학과 교육
문학교육에서 허구적 세계와 언어의 문제 | 251
1. 들어가며
2. 문학에서 언어의 문제
3. 문학 텍스트와 허구적 세계의 구성
4. 나오며
미적 정서의 특성과 문학교육적 함의 | 276
1. 들어가며
2. 미적 체험의 특성
3. 정서 체험의 특성
4. 미적 정서의 문학교육적 함의
5. 나오며
교과서 수록 아동문학텍스트의 서술 양상 연구 | 306
1. 들어가며
2. 아동문학텍스트의 서술 특징
3. 서술자의 유형과 초점화자의 개념
4. 교육과정에 제시된 서술 관련 내용 요소
5.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텍스트의 서술 양상 분석
6. 나오며
문학 수업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문학 능력 | 334
1. 들어가며
2. 문학 능력과 문학 수업의 구조
3. 초등학교 문학 수업의 사례 분석
4. 나오며
초등학교 문학수업의 문화기술적 연구 | 368
1. 들어가며
2. 수업 중 학생 반응의 형식
3. 나오며
참고문헌 | 395
색인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