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화연구총서 발간사 5
책머리에 7
Ⅰ. 서언-근대계몽기, 그리고 여자들 15
1. 익숙하고도 낯선, 근대계몽기라는 짧은 연대 15
2. 신여성의 전사(前史), 근대계몽기 여성들에 주목하는 이유 18
3. 여성 담론 형성의 주축, 근대계몽기 지식인들의 구도 20
Ⅱ. 유교 지식인들, ‘여성’을 말하다 27
1. 국민교육을 위한 매개자:‘국민 양성자’로서의 ‘현모’ 28
2. 위기의식과 성적 통제:내외법과 열 윤리 강조 40
3. 개가론과 열녀담:근대 초 계몽담론의 뇌관 48
1) 황성신문의 개가론과 반(反) 개가론 50
2) 김택영과 장지연, 열녀로의 퇴행 57
3) 김윤식의 대담한 ‘개가론’ 주장 68
Ⅲ. 성 풍속 개조론과 ‘여성’의 발견 87
1. 혼인 폐습 고발론:거래되는 존재, 물화된 대상 88
2. 극단화된 상벌론:범죄자 아니면 선행상 표창자? 94
3. 의복개량론:가시화된 공적 존재, 거리로 나온 여성들 103
Ⅳ. 근대계몽기 ‘첩’ 재현과 그 운동성 119
1. 선첩, 악첩, 더 악한 본부인, 제일 악한 친일 관리 120
2. 첩 출신 계몽운동가와 그 운동성 127
3. 축첩폐지론과 남성 욕망 139
Ⅴ. 근대계몽기 여성 계몽과 교육운동 153
1. 여성교육의 명분, ‘국가 현모’ 만들기 153
2. 여학교 설립 운동의 진행과 경과 163
3. 여학생, 여교사, 여성 설립자 180
Ⅵ. 근대계몽기 여성 글쓰기와 근대적 주체 형성 215
1. 여성 글쓰기의 ‘논설’ 편향과 공적 주제에 대한 열정 216
2. 근대 초 여성 논설작가 ‘한남여사’와 여성 논설의 의미 224
3. 글쓰기와 ‘국민 되기’-국가적 위기 상황에서의 자발적 협조 232
4. 글쓰기와 ‘여성 되기’-봉건적 성별 질서에 대한 거부와 갈등 238
Ⅶ. 맺는 말 253
부 록
<부록 1> 근대계몽기 대표적 유교 지식인들의 여성 관련 자료 목록 265
<부록 2> 신문 소재 주제별 여성 관련 기사 (1896~1910. 8. 31) 270
<부록 3> 근대계몽기 학회지 소재 여성 관련 자료 목록 277
<부록 4> 첩 관련 기사 (1896~1910. 8. 31) 282
<부록 5> 신문에 게재된 여성 글쓰기 목록 (1898~1910) 284

참고문헌 289
찾아보기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