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 문학교육의 현황
제1장 북한 사회주의 교육과 문학교육의 위상 3
1. 들어가며 3
2. 북한 사회주의 교육제도의 자장 5
3. 사회정치적 생명체를 위한 문학교육 10
4. 나오며 20

제2장 북한 아동문학과 교육 22
1. 들어가며 22
2. 선행 연구의 검토 26
3. 북한의 아동문학과 사회주의 교육 34
4. 아동문학과 학제 내 교육 39
5. 아동문학과 학제 외 교양 47
6. 통일 이후 아동문학 교육/교양의 설계 52
7. 나오며 59

북한 문학교육의 논리
제3장 북한 교육의 이론적 조건 65
1. 들어가며 65
2. 주체사상의 등장 70
3. 주체사상의 인간개조이론 83
4. ‘주체’의 전개, 그 문제적 간극 93
5. 주체사상과 사회주의 교육학 101
6. 사회주의 교육학의 균열들 112
7. 나오며 128

제4장 사회주의 아동심리학/심리학의 문학교육적 논리 132
1. 들어가며 132
2. 학제 내 문학교육에 나타난 구조적 특성 134
2.1. 소학교(전 인민학교) 문학교육과 사회주의 아동심리학 135
2.2. 중학교(전 고등중학교) 문학교육과 사회주의 심리학 144
3. 정밀한 규율의 텍스트교육학 151
4. 나오며 159

북한 문학교육의 역사적 이해
제5장 1950년대 북한 문학교육교양장의 현장 165
1. 들어가며 165
2. 「아동문학」의 창간 167
3. 1950년대 「아동문학」의 내면 지형 172
3.1. 독서교육, 창작교육의 구조 172
3.2. 편집진과 작가군의 동향 179
3.3. 주체 이데올로기 담론의 징후 190
4. 나오며 196

제6장 1960년대 북한 문학교육교양장의 현장 198
1. 들어가며 198
2. 「아동문학」의 변모와 위상 201
2.1. 오체르크와 실화 201
2.2. 문학권력과 정치적 배제 206
2.3. 창작교육과 독서교육 218
3. 나오며 226

제7장 1960년대 문학교육교양의 주제적 경향 229
1. 들어가며 229
2.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231
2.1. 재일조선인 귀국 운동의 정당성 231
2.2. 중국 동북지역 항일혁명투쟁의 계승 236
2.3. 남한 아동(청소년)의 현실 형상화와 통일 문제 241
2.4. 복수의 긍정적 전유와 증오의 집단기억 248
2.5. 천리마 운동과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253
3. 나오며 260

북한 문학교육 연구의 진로
제8장 북한 제도교육의 형성에 관한 문제제기 265
1. 들어가며 265
2. 북한 사회주의 교육 연구의 역사적 검토 270
3. 북한 문학교육의 제도적 기원 287
4. 나오며 299

제9장 북한 문학교육 연구의 향방 301
1. 들어가며 301
2. 초기 제도적 교육의 경우 307
3. 재일조선인 교육의 경우 314
4. 나오며 335

참고문헌 339
후기 348